⑪<끝> 첫발 뗀 ‘탄소발자국 지우기’
"기업들 자체 감축계획 세워야"
정부의 이러한 방침이 기업이나 국민으로부터 공감을 얻기에는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 탄소중립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는 점은 맞지만 구체적으로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 나아가 탄소중립이 실현될 수 있을지 ‘물음표’가 붙는다는 것이다.
이투데이는 환경, 산업, 국토, 시민단체 등 각 분야 전문가 4인과의 좌담회를 통해 탄소중립 목표에 대한 현 상황을 진단하고, 국민·기업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해법을 정리했다.
정상훈 그린피스 기후에너지 캠페이너는 “기후위기가 극단의 상황으로 전개되면서 탄소중립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며 “2050년 이전에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반드시 달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부의 탄소발자국 정책이 지지를 얻기 위해선 ‘의견 수렴’의 과정이 가장 중요하다고 봤다. 임소영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해관계에 따라 탄소중립 계획이 급진적이라고 받아들이기도 하지만, 기대치에 한참 못 미치는 결과라고 느끼기도 한다”며 “이해관계자와 일반 국민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이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더욱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탄소중립이 요구되는 시대에서 기업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일까. 박용성 한국교통안전공단 상임이사는 “이미 기술 수준이 높고 사회적 준비가 돼 있는 유럽·북미 국가는 절대적으로 유리한 상황”이라며 “우리나라 기업들은 경쟁력 있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더욱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대응을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유승직 숙명여대 기후환경융합과 교수는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반대 의견보다는 더 적극적인 자세에서 자체적인 감축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정부의 지원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