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과학기술 기반 10개 과제 선정
도주차량 추격 시 경찰의 위치추적기가 발사되고, 범죄 현장에선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겹친 지문을 분리해 낸다. 온라인 증거물 훼손을 방지하는 포렌식 기술도 활성화된다. 이 모두 영화의 한 장면 같지만, 국내 과학기술을 활용한 치안 서비스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청은 8일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국민과 경찰이 요구하는 치안 현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맞춤형 연구개발 사업인 ‘폴리스랩 2.0’을 2025년까지 445억 원 규모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폴리스랩 2.0 사업은 치안 현장의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과제 기획부터 실증, 현장 적용까지 전 과정에 사용자인 국민과 경찰이 참여하는 과기정통부ㆍ경찰청 공동추진 사업이다. 양 부처는 지난 3년간 ‘폴리스랩 1.0’ 시범사업을 협업 운영한 바 있다.
이번 사업은 현안 이슈 중심의 폴리스랩 1.0과 다르게 미래 치안 이슈에도 대응하면서 국민과 경찰의 직접 참여도 촉진하도록 기획했다. 특히 과학기술 기반 10개 과제가 선정되면서 국가 치안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폴리스랩 2.0은 크게 긴급대응형, 선제대응형, 현장참여형 3가지 과제로 구분된다. 긴급대응형은 시급한 치안 현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주차량 추격용 발사형 GPS, 경찰 신형 보호복, 겹친 지문 분리 시스템 등 기술을 개발한다. 선제대응형은 사회변화 방향을 예측해 5년 이내 치안 현장에서 요구할 솔루션을 선제적으로 발굴한다. 무인로봇과 포렌식 기술이 포함된다. 현장참여형은 국민과 현장 경찰관이 치안 현장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개발 수행 지원한다. 경찰장비 안전성 실험, 치안 현장용 드론이 연구ㆍ개발될 예정이다.
두 부처는 이번 사업을 통해 긴급성ㆍ다양성ㆍ전문성이 중시되는 치안 현장에 신속한 과학기술 기반 치안 솔루션 제공하고 대국민 치안 서비스 체감도 향상한다는 것이 목표다. 한계에 직면한 인력 투입 위주의 경찰활동을 개선하고, 국민과 사회의 수요를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현장 맞춤형 과학치안으로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것이다.
과기부와 경찰청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으로 급변하는 치안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을 활용한 문제 해결이 중요하다”며 “국민이 연구성과를 통해 첨단치안을 체감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