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10명 중 8명은 다른 문화를 차별해서 안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다른 문화집단과 직장동료, 이웃, 동호회 등의 관계 맺기에 대한 수용도는 낮았다.
서울연구원은 11일 '서울시 문화다양성 시민인식지표 개발과 정책과제' 정책리포트를 통해 지난해 6월 23~30일 서울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울시민 문화다양성 인식 시범조사 결과 서울시민 79.5%는 내가 속한 문화를 기준으로 다른 문화를 차별해서는 안된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71.3%는 소수문화가 제도적, 관행적으로 차별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응답했다.
다른 문화집단의 문화표현에 대해서 '성적지향ㆍ성정체성'과 '종교ㆍ정치적 견해'를 제외한 출신지역, 성별, 세대 등의 문화표현에 대해서는 60% 이상이 존중한다고 답했다. '성적지향ㆍ성정체성' 존중은 47.1%로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문화적 배경이 다른 집단 중 성소수자, 정치적 견해가 다른 사람, 북한이탈주민, 이주노동자와 이웃이 되는 것에 동의하는 시민은 절반도 되지 않았다. 이들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이 높게 표출된 것이다. 성소주자와 이웃이 되는 것이 싫다는 사람은 약 30%에 달했다.
서울시민은 스스로 문화다양성 수용도를 높게 인식하지만 다른 문화집단과 직장동료, 이웃, 동호회의 관계 맺기에 대새서는 수용도가 낮았다.
서울연구원은 "문화다양성 인식 차원의 수용도와 실제 수용도 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문화다양성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감수성의 부재가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서울시민 85%가 문화다양성이란 말은 들어봤지만, 대부분 '민족ㆍ인종ㆍ국적'에 국한된 협소한 의미로만 인지했다.
자신을 사회적 소수자라고 인식한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자신만의 문화표현에 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서울시민 21.2%는 자신만의 비주류 문화표현을 가직 있다고 응답했고, 이중 절바인 48.1%만 문화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고 답했다.
서울연구원은 서울시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해 실태조사 정례화와 정책추진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서울시 문화다양성 정책 추진의 방향 설정과 효과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 축적이 필요하다고 봤다. 이 자료로 서울시 여건에 맞는 정책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소수자 집단의 문화다양성 인식과 침해사례 파악 등을 위한 심층조사도 병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화다양성위원회'의 설치도 제안했다. 문화다양성위원회는 서울시 문화다양성 조례에 설치가 지정돼 있는 기구지만 현재 위원회는 없다. 위원회를 설치해 실태조사의 주기성과 연속성을 확보하고 문화다양성 정책 추진의 총괄과 조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연구원은정책리포트에서 "문화다양성 정책 추진을 위해 서울시 문화다양성 보호와 육성을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