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경기도, 매설시기조차 모르는 하수도관·가스관·전력관·통신관 전국서 가장 많이 방치”

입력 2021-10-13 15:02수정 2021-10-13 15:5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출처=지역난방공사(열수송), 한국전력(전력), KT·SK-텔레콤 등 통신사(통신) 등의 지하시설물 정보 전산화 자료 산출)

경기도가 매설연도를 알 수 없는 하수도관, 가스관, 전력관, 통신관 등 지하시설물을 전국 지자체 중 가장 많이 방치해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인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장경태 의원(서울 동대문구을)이 국토교통부가 제출한 ‘지하시설물 6종 노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하시설물 전체 47만6329km 중 △30년 미만 배관이 31만8012km(66.76%) △30년 이상 6만397km(12.68%) △40년 이상 1만1665km(2.45%) △확인불가 8만6252km(18.11%)로 드러나 전국 지하시설물의 최소 33%는 관로 파손 위험 가능성에 크게 노출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지하시설물 6종(상수도, 하수도, 가스관, 열수송관, 전력관, 통신관) 가운데 30년 이상된 노후 배관과 언제 매설한 지도 모르는 배관이 3분의 1을 차지하는 상황이다.

지자체별로는 상수도관의 경우, 경북이 매설연도를 알 수 없는 상수도관(1517건)을 전국에서 가장 많이 보유한 것으로 드러났다. 뒤이어 경기 1125건, 전북 1056건을 기록했다.

매설시기를 알 수 없는 하수도관의 경우, 경기도가 10만 282건을 보유해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가스관의 경우, 경기도가 3376건, 서울이 3290건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인천의 경우, 125건의 매설연도를 알 수 없는 열수송관을 보유했다.

전력관의 경우, 경기도가 3071건, 서울이 1726건을 보유했다. 통신관 역시 경기도가 5773건으로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뒤이어 서울 1329건, 경북 1298건, 강원 1268건 등 1000건에 육박하는 지자체가 다수인 것으로 드러났다.

매설연도 조차 확인이 불가한 배관은 언제 매설됐는지 확인이 안 되는 설계도만 남아 있는 배관을 뜻한다. 즉, 1970년대 이전에 매설된 50년 이상의 배관인 것이 다수를 차지해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실정이다. 지하관로는 30년만 지나도 녹이 슬고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장 의원의 지적이다.

실제로, KT 아현지사 통신구 화재(2018년 11월)와 고양 백석역 열수송관 파열(2018년 12월) 등의 지하 안전사고가 발생했으며, 최근 5년간 발생한 1170건의 지반침하사고(싱크홀) 중 절반 이상(640건)이 상하수도관 손상으로 발생했다.

장경태 의원은 “지하시설물 노후화에 대한 위험성을 고려해 지하시설물 정확도 개선 등 지방정부와 관계부처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언제 매설된 지도 모르는 배관과 노후 배관부터 하루빨리 점검하고 교체하는 선제적 대응으로 국민안전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