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에서 (여성이) 임원을 하려면 보통 사람이 아니라는 말들을 한다. '악바리'다, 상대하면 안 된다고들 한다. 기업 스스로가 여성들이 임원으로 성장하기 어려운 조건들을 제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박선영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3일 경제신문 이투데이와 여성금융인네트워크 주최로 한국거래소 서울 사옥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2021 대한민국 여성 금융인 국제 콘퍼런스’ 패널토론을 통해 이같이 말했다. 박 연구원은 한국젠더법학회 회장을 비롯해 여성의당 정책자문위원장을 맡고 있다. 주로 행정부, 국회, 법원과 협업했으며 법률정책 관련한 자문을 다수 맡았다.
박 연구원은 ESG와 자본시장법 도입이 여성의 경제활동에 미친 영향에 대해 소회를 풀어놓기도 했다. 박 연구원은 "ESG는 사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투자전략이고, 투자는 사회 봉사하는 게 아닌 수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라며 "돌봄이 멈췄을 때 사회가 어떻게 되는지 코로나19를 통해 볼 수 있었고, 왜 지속가능한 비재무적 요소들이 요구되는지를 알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기업 내 여성 사외이사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을 짚기도 했다. 한편 박 연구원은 "법이 시행되고 나서 비중이 증가하고 있지만, 상장회사 전체의 6.8%에만 적용되고 있다는 점이 한계기도 하다"라며 "여성이 사외이사에서만 비율이 높은 것 또한 앞으로 해결돼야 할 문제라고 본다"라고 말했다.
여성정책을 펼치는 데 고질적 문제로 꼽히는 '인력 부족' 문제에 대해 짚기도 했다. 박 연구원은 "사람이 없다"라며 "관리직 육성 없이 기업 질서를 바꾸고 기업의 젠더 관계를 변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라고 지적했다. 실제 OECD 평균 여성관리직 비율이 약 33%에 달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그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15.4%다.
박 연구원은 그 대안으로 관리직 성별 목표제 도입을 제안했다. 현대 국가와 지자체, 공공기관의 장에게는 성별 관리직 목표제를 시행 중이다. 여성 관리직 육성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세우도록 하고, 관련 내용에 대해 관리한 후 제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박 연구원은 "법으로 제도를 확대할 필요가 있고, 여러 형태의 지원과 제도적인 조건을 마련해야 한다"라며 "그렇게 된다면 모수가 적어서 임원으로 성장하는 여성들이 없다거나 하는 얘기들이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