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尹대신 洪지지 2030男 상당수…"다시 끌어안기 어려워"
"여성 정책, 2030 남성들 역차별 느낄 수 있어 반발 가능성"
여야 대선주자 이재명·윤석열 후보에겐 4개월 안에 반드시 풀어야 할 방정식이 있다. 지지율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언제든지 두 후보를 좌지우지할 20·30의 마음을 아직도 사로잡지 못해서다. 특히 최근 국민의힘을 대거 탈당한 '홍준표 지지 2030 남성'들을 품을 기회가 왔지만, 두 후보 모두 어떤 값(정책, 선거전략 등)을 넣어야 이미 돌아서 버린 이들의 표심을 잡을 수 있을지 갈피를 잡기도 어렵다. 청년들 사이에서 "정권교체는 해야겠는데, 둘 다 비호감도 높아 못 찍겠다"는 목소리도 높다. 두 후보의 2030 남성의 표심을 잡기 위한 정책이 오히려 2030 여성의 표심에 반하는 것이 많아 딜레마에 빠졌다.
당장 이 후보는 8일 비공개 선거대책위원회의에서 구성원들에게 ‘2030 남자들이 펨코에 모여서 홍을 지지한 이유’라는 인터넷 커뮤니티 글을 공유했다. 2030 남성 표심을 의식한 것으로 형수 욕설 논란과 배우 김부선 씨와의 스캔들 등 탓에 여성 지지세를 끌어올리는 데는 한계가 있어서다.
해당 글은 “국민의힘은 2030의 목소리를 들어줬지만 민주당은 각종 페미니스트 정책으로 남성을 역차별했다”며 “이재명이 문재인 정부의 페미 우선 정책과 차별화를 이뤄낼 수 있다면 2030 남성들의 지지를 얻어낼 수 있다”는 주장이 담겼다. 하지만 일각에선 유권자 모두를 보듬어야 할 대선 후보가 2030 여성을 고려하지 않은 ‘또 다른 편 가르기’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에 이 후보 측 한 의원은 통화에서 “해당 글을 공유한 게 2030 남성들만 특별히 보자는 취지는 아니다. 목소리들을 모두 들어보자는 것”이라면서도 남성 역차별 이슈와 친여성 정책을 동시에 챙기기 어렵지 않냐는 지적에는 “그런 부분이 있다”고 했다.
한 정치권 관계자도 “이 후보가 어떤 친여성 행보나 정책을 해도 몇 년간 따라다닌 스캔들 때문에 만회는 어렵다”며 “차라리 홍준표 의원 낙선으로 흩어진 2030 남성 표심을 잡는 게 더 이득이라고 보는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연일 이어지는 이 후보의 청년 관련 일정 중 여성 겨냥 행사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분석도 나온다. 지난달 31일 2030 여성들과 넷볼 경기를 한 것 외에는 특별한 일정은 없으며, 9일 대선후보가 한자리에 모이는 전국여성대회도 부인인 김혜경 씨의 낙상사고 발생으로 불참했다.
이 후보 측은 박빙이 예상되는 윤 후보를 의식해 남녀 구분 없이 2030과의 교감을 늘려 최대한 많은 지지를 끌어올리는 데 고심하고 있다. 당장 후보 직속으로 30대 의원들이 참여하는 청년플랫폼을 마련해 오는 12일부터 전국 버스 순회를 통한 MZ세대 초청 토크쇼와 캠핑 등도 준비 중이다.
윤 후보 역시 이미 경선 당시 '398(20대 지지율 3%, 30대 9%, 40대 8%)'라는 수식어가 따라다닐 정도로 청년 지지세가 상당히 낮다. 게다가 이 후보가 전날 공유한 '2030 男 홍준표 지지' 관련 커뮤니티 게시글에는 "미신에 의존하고 국민을 무시하는 윤석열을 지지할 수는 없다"며 홍 의원을 지지한 이유에 대한 설명도 있어 당을 떠나간 2030 남성들을 다시 끌어안기가 대단히 어려운 상황이다.
이는 윤 후보 캠프 구성원들도 공감하는 바다. 이재명 캠프 선대위 온라인소통단장인 김남국 의원이 9일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그동안 청년에게 상처 주는 발언 등으로 홍 의원 지지층이었던 2030 표심이 윤 후보에게 갔다고는 보기 어렵다”고 분석하자 윤석열 캠프에서 청년특보를 지낸 장예찬 시사평론가도 “2030이 정권교체를 위해 선택한 부분도 있지만, 전반적인 2030 민심을 윤 후보가 어떻게 끌어안을 수 있을지가 가장 큰 숙제고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같은 상황에서 윤 후보가 내놓은 '여성 비전'이 여성 2030 표심을 끌어올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윤 후보는 "임신출산 걱정 없는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며 △임신출산 전 건강보험 △난임 지원 △출산 후 건강관리 △신생아 돌봄 서비스 등을 약속한 바 있다. 이에 정치권 관계자는 "여성 정책이 얼마나 어필을 할 수 있을지, 설상가상으로 안 그래도 멀어진 2030 남성들이 역차별을 느끼며 더욱 반발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2030은 기존 세대와는 달리 너무나 다양해서 하나의 덩어리로 묶기 어렵다"면서 "성별뿐 아니라 교육·경제 등 수준별로도 모두 성향이 달라 대선 끝까지 이들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타깃별로 맞춤형 선거전략을 잘 세워 공을 들여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