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수소경제 대전환 청사진 나왔다…2050년 수요의 100% 청정수소로 공급

입력 2021-11-26 11:34수정 2021-11-26 11: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40년 도시에서 15분 이내 수소 충전소 접근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 기대효과.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정부가 청정수소경제로의 대전환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2050년 수소 수요의 100%를 청정수소로 공급하며 2040년 주요 도시에서 15분 이내 수소충전소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또 2040년까지 14개의 수소항만도 구축한다.

정부는 26일 롯데호텔 서울에서 김부겸 국무총리(위원장) 주재로 제4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었다.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

우선 정부는 지난달 발표한 ‘수소선도국가 비전’의 실현을 위해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2050년 연간 2790만톤의 수소를 100% 청정수소(그린·블루수소)로 공급하고, 국내 생산은 물론 우리 기술·자본으로 생산한 해외 청정수소 도입으로 청정수소 자급률도 60% 이상으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수소 생산을 청정수소 공급체계로 전환한다.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수전해 실증을 통해 그린수소의 대규모 생산기반을 구축하고, 생산단가를 감축한다. 그린수소 생산량과 단가를 2030년 25만톤, ㎏당 3500원, 2050년 300만톤 ㎏당 2500원을 목표로 한다.

동해가스전 실증 등 탄소포집저장기술(CCS) 상용화 일정에 맞추어 탄소저장소를 2030년까지 9억톤 이상 확보해 이산화탄소 없는 청정 블루수소를 2030년 75만톤, 2050년까지 200만톤 생산한다.

국내 자본·기술을 활용한 해외 재생에너지-수소 생산 프로젝트를 추진해 2050년 40개의 수소공급망을 확보한다. 2025년 블루 암모니아 해외 생산을, 2027년 블루 암모니아 해외 도입을 각각 개시한다.

청정수소를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프라도 마련한다. 석탄·LNG발전소, 산단 인근에 수소항만을 구축하고, 항만시설 사용료·임대료 감면 등 인센티브를 부여를 통해 항만 내 선박·차량·장비 등을 수소 기반으로 전환한다.

주유소·LPG 충전소에 수소충전기를 설치하는 융복합 충전소 확대 등을 통해 수소충전소를 2022년 310기, 2025년 450기, 2030년 660기, 2040년 1200기, 2050년 2000기 이상 확보한다.

아울러 발전·모빌리티·산업 등 모든 일상에서 수소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수소연료전지에 더해 석탄에 암모니아 혼소발전(2027~), LNG 수소 혼소 등 수소발전을 상용화하고, 청정수소 발전의무화 제도(CHPS) 도입, 환경급전 강화 등을 추진한다.

수소차 생산능력의 대폭 확충(2050년 526만대)과 함께 2030년까지 내연기관차 수준으로 성능을 제고하고 선박·드론·트램 등 다양한 모빌리티로 수소 적용을 확대한다.

산업 부문도 신규·노후 산업단지 중심으로 수소연료 사용을 유도하고, 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 온실가스 고배출 산업을 대상으로 수소기반 공정전환과 연료·원료를 수소로 대체해 나간다.

이 계획을 통해 수소가 2050년 최종에너지 소비의 33%, 발전량의 23.8%의 비중을 차지할 전망이며, 1319조 원의 경제효과와 56만 70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온실가스는 약 2억톤 이상 저감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수소는 2020년 최대 에너지원인 석유(49.3%)를 제치고 2050년에는 단일 에너지원으로써는 최대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고 있다.


◇수소충전소 전략적 배치계획

2025년까지 전국 226개 시·군·구에 원칙적으로 1기 이상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하며, 2030년에는 주요 도시에서 20분 이내, 2040년에는 15분 이내에 수소충전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수소차 보급 초기단계(~2025년)에는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거점지역 중심으로 충전소 구축을 지원하고, 수소차 보급 성숙기(~2040년)에는 민간주도로 충전소 확충을 유도한다.

특히 이번 계획을 통해 수소차 대비 충전소가 부족한 서울 등 수도권과 광역시, 고속도로, 교통물류거점 충전소를 조속히 확대한다.


◇수소항만 조성 방안

정부는 수소경제 확산에 따른 해외수소 도입확대에 대비, 전국 주요 항만을 수소 생산·물류·소비에 적합하도록 선제적으로 정비한다.

2040년까지 수소 생산·물류·소비 생태계를 갖춘 14개 수소항만 구축을 목표로, 울산, 광양, 부산, 평택·당진, 군산 등 주요 항만을 중심으로 민관협력 수소항만 선도사업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항만 내 선박, 하역 장비 등을 수소 에너지 기반으로 전환하고, 수소생산, 물류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해양그린수소 생산 기술개발 계획

파력·풍력 등 풍부한 해양자원을 활용한 그린수소 생산기술 개발·실증을 통해 국내 수소생산을 확대하고 미래 먹거리 산업을 선점한다.

2040년 국내 그린수소 공급량의 10%를 해양그린수소로 공급하는 것으로 목표로, 파력·풍력 등으로 생산한 전력을 활용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개발 및 생산 실증에 나선다.

이를 위해, 국내 어업과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해상풍력 발전 방안 등을 고려해 △연안(고정식) 수소생산 실증 △외해(부유식) 원천기술 개발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 추진현황 및 계획

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를 테스트베드로 활용해 수소 신기술 실증과 선제적인 규제개혁을 추진한다.

친환경 모빌리티(울산), 액화수소 산업(강원), 암모니아(부산) 등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 지원을 통해 정책효과를 극대화한단 복안이다.

김 총리는 “수소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가장 강력한 수단이자, 2050년 단일 에너지원으로써는, 전체 에너지 소비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최대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며 “우리나라는 국내 수소차 누적 1만 8000대, 2018년 대비 발전용 연료전지 보급 2배 성장, 43조 원의 민간 대규모 투자 등 수소경제의 성과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위원회 사전행사로 블루수소 생산기지 구축 사업 협약식과 친환경 에너지 인프라 전환 협약식이 열렸다.

블루수소 생산기지 사업을 통해 중부발전-SK는 보령 중부발전 유휴부지에 2025년까지 연 25만톤 규모의 수소 생산·액화·연료전지 설비를 포함한 종합 청정수소 생산기지를 건설할 계획으로, 이번 협약을 통해 보령시·충남도는 신속 인허가 등을 적극 지원키로 했다.

친환경 에너지 인프라 전환 협약식을 통해 수소충전소 전문 기업인 하이넷(Hynet), 코하이젠(Kohygen)과 한국주유소협회, 한국LPG산업협회는 기존 주유소·LPG충전소 부지를 활용, 수소차 보급의 핵심 인프라인 수소충전소 구축 확대에 적극 협력키로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