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조사에 이은 엔지니어링 분석 포함
리콜 적정성 여부까지 판단해 모니터링
현대차 “본조사도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현대차ㆍ기아의 엔진 결함과 관련해 기술적 조사에 나섰다. 조사 범위도 기존 리콜 규모(약 160만 대)의 약 2배인 300만 대로 확대했다.
현대차 측은 “앞서 사전 조사와 마찬가지로 이번 기술 조사 역시 적극적으로 협조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27일(현지시각) AP통신을 포함한 주요 외신은 “현대차ㆍ기아의 엔진 화재와 관련해 사전 조사를 벌여온 미국 NHTSA가 두 번째 단계인 기술적 조사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기술 조사는 논란이 된 △세타2 엔진 이외에 △누우 엔진 △감마 엔진까지 포함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보도에 따르면 NHTSA는 지난 6년 동안 현대차ㆍ기아의 엔진 화재에 대해 사전 조사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161건의 크고 작은 엔진 화재와 3명의 부상자를 확인한 바 있다. AP통신은 “이 가운데 일부 화재는 이미 리콜된 차에서 발생했다”라고 덧붙였다.
사전 조사를 마친 NHTSA는 이번에는 엔진에 기술적 문제가 없는지 엔지니어링 조사에 나설 계획이다. 동시에 현대차ㆍ기아의 과거 리콜이 충분한 차량을 대상으로 정당하게 진행됐는지, 리콜은 효과적이었는지 등 리콜의 적정성 역시 함께 살펴볼 예정이다.
무엇보다 기술 조사에서는 조사 대상이 확대됐다.
AP통신 보도를 보면 기술적 조사는 논란이 됐던 △세타2 엔진을 넘어 △누우 엔진과 △감마 엔진까지 확대했다. 2
구체적으로 △세타2 GDI △세타2 MPI △세타2 MPI 하이브리드 △누우 GDI △감마 GDI 엔진 등이다. 차종으로 살펴보면 2011년∼2016년형 현대차 쏘나타와 엘란트라, 기아 쏘렌토와 옵티마, 쏘울 등이다.
이를 포함해 조사 범위만 300만 대에 달한다. 사전 조사 이후 리콜이 결정된 세타2 엔진(약 160만 대)의 약 2배 수준이다.
AP는 기술조사 대상이 매우 증가한 점을 들어 “이번 기술 분석이 현대차ㆍ기아의 추가 리콜로 이어질 수 있다”라고 보도했다.
앞서 NHTSA는 작년 11월 시기적으로 늦게 리콜을 했다는 등의 이유로 현대차ㆍ기아에 대해 8100만 달러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어 안전 성능 측정 강화와 품질 데이터 분석 시스템 개발 등을 위해 5600만 달러의 투자를 합의한 바 있다.
현대차ㆍ기아는 2015년 엔진 리콜을 시행한 이후 최소 8번의 추가 리콜을 결정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
현대차ㆍ기아는 이번 NHTSA의 조사 확대와 관련해 “현지 법인은 물론, 본사 차원에서 미국 당국의 조사에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선 배경에는 "품질 이슈에 대해서는 빠르게 대응한다"는 내부 방침에 따른 것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해당 사안에 대해 현지 당국이 사전 조사를 진행했고 리콜 등 조치가 있었다”라면서 “사전 조사 이후에 본 조사로 전환하는 것이며, 이번 조사 역시 적극적으로 협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