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권사들의 해외 대체투자 가운데 손실이 예상되거나 원리금 연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투자 규모가 늘어났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국내 증권사들이 외국에 있는 부동산과 사회간접자본(SOC) 등에 투자한 자금 중 9조2000억 원가량이 손실 위험에 처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2020년 상반기 기준 해외 대체투자 부실ㆍ요주의 규모 7조5000억 원에 비해 1조7000억 원 증가한 수준이다.
대체투자는 주식·채권 등 전통적 투자상품을 제외한 부동산·인프라·원자재·항공기·선박 등 대안의 자산에 투자하는 방식을 말한다. 해외투자 구조는 주로 외국 자산을 편입한 국내 운용사의 펀드를 인수한 뒤 투자자에게 재매각ㆍ보유하거나, 외국 운용사의 역외펀드를 기초자산으로 파생결합증권(DLS) 상품을 만들어 판매하는 방식이다.
2017년 이후 대형 증권사 중심으로 해외 오피스빌딩·호텔·SOC 등에 대한 투자를 경쟁적으로 확대해왔다.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1월 4일 발표한 ‘증권사의 해외 대체투자 현황 및 향후 대응방안’에 따르면, 2020년 상반기 기준 증권사 해외 대체투자 규모는 48조 원이었다. 투자지역은 미국이 37%로 가장 많고, 이어 영국 11%, 프랑스 9%, 독일 7% 등의 순이었다.
투자대상은 부동산의 경우 오피스(12조2000억 원), 호텔·콘도(4조5000억 원)가 많았다. 특별자산의 경우 발전소(10조1000억 원), 항만·철도(4조3000억 원)가 많았다.
1년이 지난 2021년 6월 말 기준 증권사의 해외 대체투자 규모는 52조5000억 원으로 파악됐다. 1년 사이 해외 대체투자 규모가 4조5000억 원 늘어났다는 얘기다.
이 가운데 35조7000억 원은 투자자에게 재매각됐고, 나머지 16조8000억 원은 직접 보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자산은 미국(21조1000억 원), 영국(6조 원), 프랑스(4조2000억 원) 등에 주로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