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힘든 자영업자 두 번 울려
금융당국의 대출 규제가 강화된 가운데 시중은행 및 정부 기관 등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휴대폰 문자메시지가 여전히 활개 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자금난을 겪는 자영업자 등을 대상으로 한 사기 형태로 이들을 두 번 울리는 셈이다.
19일 이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이런 보이스피싱 문자메시지는 '정부 정책지원 국민생활안정 지원금 신청 안내문', '위드코로나 단계적 일상회복 긴급지원금 신청 안내문' 등의 이름으로 날라온다.
특히 이전에는 은행, 카드사 등 기존 금융회사를 사칭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카카오뱅크 등 빅테크 금융 서비스를 사칭하는 방식이 늘고 있다.
카카오뱅크 이름으로 온 메시지에는 "코로나19 긴급 민생지킴 종합대책의 일환으로 22년도 긴급 추가경정예산을 편성받아 지원되는 '정책지원 국민생활안정 지원 긴급 대출'신청대상이오나 현재까지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어 안내드립니다. 마감 전 빠른 신청 하시어 어려운 시기에 큰 힘이 되기를 바랍니다"라며 통화를 유도한다.
적용금리 연 1.3%~5.0%대 내외 고정금리, 지원한도 최소 2000만~최대 2억 원 이내, 대출기간 8년 이내(3년 거치 후 5년 분할상환) 등 내용도 구체적이다.
해당 문자의 번호로 발신하면 "담당 직원이 잠시 후 연락드립니다" 메시지와 함께 전화가 끊긴다. 이후 보이스피싱을 목적으로 다시 전화가 걸려오는 방식이다.
카카오뱅크는 "카카오뱅크를 사칭하는 문자나 전화에 속지 마세요"라는 공지도 올려놨지만, 이 같은 보이스피싱은 끊이지 않고 있다.
경찰청의 '최근 5년간 보이스피싱 발생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7년 2만4259건이었던 보이스피싱 발생건수는 2019년 3만7667건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2020년 3만1681건, 2021년 3만982건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그러나 피해액은 2017년 2470억 원에서 2021년 7744억 원으로 5년새 3배 넘게 급증했다. 특히 기관사칭형보다 대출사기형의 발생건수와 피해금액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한 보이스피싱 분석 전문가는 "이들은 보통 대출알선 위주로 공격을 시도한다"며 "상담을 하겠다고 전화를 해서 대출받고 싶다고 하면, 어디에 얼마가 있는지 등을 물어보고 작업을 한다. 전화 건 사람들 정보도 데이터베이스(DB)화시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링크가 있는 문자 메시지는 링크를 눌러서 앱을 깔면 절대 안 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