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 금리 8개월째 상승…영끌족 곡소리

입력 2022-03-03 12:00수정 2022-03-03 18: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올해 1월 가계대출금리가 3.91%를 기록하며 2014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6월 2.92%를 기록한 이후 8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상승폭 또한 0.25%포인트(p)로 지난해 10월 0.28%p 오른 이후 가장 큰 증가폭이다.

지난해와 올해 초 한국은행이 연이어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지표금리(코픽스·은행채 등) 상승을 이끈 여파가 지난달 반영되기 시작했고, 주택담보대출 금리 오름세를 이끌었다. 주담대와 일반신용대출 금리가 각각 전월 대비 0.22%p, 0.16%p 오르며 영끌족의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3일 공개한 '2022년 1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에 따르면 4.0~4.5% 미만의 가계대출 금리를 적용받던 비중은 지난해 12월 9.9%에서 올해 1월 24.3%로 대폭 상승했다. 4.0%를 기준으로 그 이상의 금리를 적용받고 대출을 감행한 비중은 모두 올랐지만, 그 이하 금리를 적용받은 비중은 모두 줄었다.

송재창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 팀장은 "일반 신용대출을 비롯해 전반적으로 지표금리가 오르면서, 금리 상승이 이어지면서 4.0% 이상의 대출도 늘어난 것"이라며 "5.0% 이상의 금리를 적용받는 비중은 8.2%로, 2014년 5월 8.7%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실제 가계대출에 적용된 코픽스의 경우 12월에 오른 코픽스의 상승분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라며 "1월 코픽스가 0.05%p 하락한 건 2월 시차를 두고 금리를 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라고 덧붙였다.

실제 1월 중 신규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1.64%로 전월 대비 0.05%p 하락했다. 1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이후 각 은행의 수신상품 금리를 인상한 것이 당시 코픽스 산정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점도 소폭 하락한 이유로 여겨졌다.

예대금리차도 지난해 8월 1.84%p를 기록한 이후 가장 크게 벌어졌다. 1월 신규취급액 기준 예대금리차는 1.80%로 전월 1.55% 대비 0.25%p 올랐다. 잔액 기준으로는 0.03%p 오른 2.24%를 기록했다.

1월 예금은행의 저축성수신금리는 1.70%로 전월 대비 0.05%p 하락했다. 반면 대출금리는 전월 대비 0.20%p 상승한 3.45%를 기록, 예대금리차를 벌렸다.

한은의 설명에 따르면 수신금리 하락은 연말 유동성 관리를 위한 특판 효과가 소멸하고 장기물 비중이 축소한 영향을 받았다. 특히 CD와 RP가 각각 0.26%p 내리며 시장형금융상품의 금리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송 팀장은 "일부 은행에서 LG에너지솔루션 공모로 인한 대출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했다"라며 "CD나 RP쪽 자금조달을 위해 단기 시장형상품을 늘린 것도 금리하락 요인으로 작용한 게 1월의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대출금리는 상승 요인이 보다 크게 작용했다. 1월 코픽스는 0.05%p 줄어든 1.64%를 기록했지만 91일물 CD는 1.39%로 0.12%p 늘었다. 지표금리가 상승한 가운데 12월 저금리 대출 취급 효과가 소멸되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대출금리가 각각 0.17%p, 0.15%p 올라 전체 기업대출금리 또한 전월 대비 0.16%p 오른 3.30%를 기록했다.

신용대출 금리 또한 0.16%p 오른 5.25%다. 한은은 지난해 11월 0.54%p 오른 이후 최대 상승 폭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가계 빚(신용)은 지난해 134조원 이상 불어 사상 최대 규모인 약 1862조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982조4000억 원이며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 규모는 773조4000억원이다.

한국은행은 대출금리가 각 0.25%p, 0.5%p 인상될 경우 가계의 연간 대출 이자 부담이 각 3조2000억원, 6조40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대출자 1인당 연이자 부담도 금리가 0.25%p, 0.5%p 오를 때 289만6000원에서 각 305만8000원, 321만9000원으로 16만1000원, 32만2000원 불어나는 것으로 추정됐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향후 기준금리 상승 전망과 글로벌 긴축기조 등을 볼 때 무리한 대출을 받아 부동산이나 주식투자 등에 나선 이들의 이자 부담이 빠르게 증가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