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가계 빚 폭증에 금리인상 가속, 커지는 이자 공포

입력 2022-04-08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 한 해 국내 가계가 금융기관에서 빌린 돈이 189조600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상 최대 규모다. 2019년 84조4000억 원에서 2020년 171조7000억 원으로 증가했고, 작년 차입액이 더 커졌다.

한국은행은 7일 이 같은 ‘2021년 자금순환 동향(잠정)’ 통계를 발표했다. 집값 폭등으로 가계의 금융기관 차입이 늘고 주식투자를 위한 대출이 급증한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빚투’(빚내서 투자)가 대출 수요를 키웠다. 작년 말 기준 가계의 국내주식 취득 잔액이 944조6000억 원, 해외주식은 77조3000억 원이었다. 전년에 비해 국내주식 투자액 10.1%, 해외주식은 42.1%나 증가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통화긴축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5월 기준금리를 통상 수준의 2배인 0.5%포인트(p)를 한꺼번에 올리는 ‘빅스텝’과 함께 대규모 양적 긴축도 예고했다. Fed는 지난 3월 기준금리를 3년 4개월 만에 0.25%p 올리면서 금리인상의 시동을 걸었다. 현재 금리는 연 0.25∼0.50%이고, 예상되는 연말 금리 수준은 1.875%다.

Fed가 6일(현지시간) 공개한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서도 회의 참석자 다수가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해지면 한 번 이상의 0.5%p 기준금리 인상이 적절하다”고 언급했다. 또 다음 달부터 월 950억 달러 한도로 시장에 풀린 돈을 회수하는 양적 긴축을 시사했다. 인플레 우려 때문이다. 지난 2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년 전보다 7.9% 급등해 40년 만의 최고치를 보였고,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도 6.4% 뛰어 Fed 목표치를 3배 이상 웃돌았다. 우크라이나 사태로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이 치솟으면서 인플레가 더 심화하고 있다.

한국의 금리 동조(同調)가 불가피하다. 우리 물가상황도 심각하다. 3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4.1% 올라 10년여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올해 연간으로 한은이 예상한 3.1%를 훨씬 웃돌 것으로 보인다. 국내 금리인상 또한 정해진 수순이다.

한은은 작년 8월 이후 세 차례 기준금리를 선제적으로 올렸다. 현재 연 1.25%다. 이달 14일 금융통화위원회가 더 올릴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막대한 빚을 안고 있는 가계의 이자부담이다. 가계부채 규모는 지난해말 1862조1000억 원이다. 금리가 1%p 오르면 단순계산으로 더 내야 할 이자가 연간 18조 원 이상이다. 서민 가계의 어려움이 커지고, 부채가 부실화할 위험도 높아진다. 경기를 가라앉히는 요인이기도 하다. 미국발 통화 긴축, 국내 물가 대응, 경기 대책, 민생 안정 등 해결하기 어려운 난제들이 한꺼번에 닥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