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노인 3명 중 1명 "일하고 싶다"는데…일자리·지원정책은 제한적

입력 2022-04-23 09: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미지투데이)

서울에 사는 노인 3명 중 1명은 현재 일하고 있거나 앞으로 일하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 시니어 일자리 환경은 자치구별로 다른데다, 일자리 형태나 지원 정책도 제한적이어서 체계 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서울연구원은 '서울시 자치구별 시니어 일자리 지원사업 운영실태와 개선방향' 정책보고서를 통해 2018년 기준 서울시 전체 일하는 노인은 35.1%, 향후 근로를 희망하는 비율은 37.1%라고 밝혔다.

일하는 시니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2012년 11월 말 기준 서울시 시니어 고용보험 피보험자 수는 81만7135명으로 2016년 60만1994명보다 26.3% 늘었다.

(서울연구원)

시니어 종사 직종은 청소 및 기타 개인서비스직, 경영·행정,사무직, 경호·경비직, 운수·운송직 순으로 나타났다.

자치구마다 시니어 고용형태 격차는 심각했다. 2019년 12월 기준 광진구 80.6%, 중랑구 75.9%, 강남구 74.4%순으로 상용직 비율이 높았다. 금천구(79%), 노원구(68%), 마포구(66.1%), 동작구(64%), 성북구(59.8%)는 절반 이상이 일용직이었다.

시니어 근로자 대다수는 '청소·방역·가사서비스원' 직종에 취업했거나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직종과 희망 직종은 연령대와 자치구별로 차이가 거의 없었다.

이는 서울시 시니어 일자리가 다양하지 못한 현실을 반영한 결과라는게 연구원의 평가다.

자치구별 일자리계획과 정책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자치구는 취약계층 대상 '공공근로 사업'이나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사업' 위주로 운영하고 있다. 시니어 일자리 지원기관 대다수는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운영이었다. 고용지원서비스, 직업훈련, 고용장려금 지원, 창업지원 순으로 제공하고 있다.

보고서는 시니어 일자리 지원기관 간 네트워크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평가 등 문제로 협력에 소극적이라고 지적했다.

현장 실무자들은 대상자 선정과 일자리 발굴의 어려움을 체감하고 자치구 내 유사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려고 시도하지만, 기관별 실적 부담, 개인정보보호법 등으로 협력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환경 변화 속에서 시니어 일자리 환경이 변화하면서 미스매칭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자치구별 산업 특성이나 지역 상황으로 특정 기술이 필요하거나 시니어 일자리 수요가 없는 경우도 있다.

연구원은 시니어 일자리 환경 변화에 따른 지원정책, 지원기관 환경 정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시니어 일자리 정책의 체계적인 지원과 관리를 위해 관련 지침을 개정하고, 조직 재정비, 고용 지원금 도입이 필요하다고 봤다.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 유형 개발과 함께 시장 수요와 다변화된 시니어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특화 직업훈련과정도 개발해야 한다고 전했다.

서울연구원은 "시니어 인구수, 근로 인구수, 희망근로 인구수, 사업체와 종사자 수, 산업 분포 등은 자치구마다 다르다"며 "하지만 여전히 공공일자리 중심의 청소와 기타서비스 업종에 한정돼 매우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 특성을 반영한 서울시 시니어 일자리 정책 구현을 위한 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