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인사이트] 기준금리 3.25% 시대 다시 오나…2011년 회귀론

입력 2022-06-18 10: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물가·유가·환율 상승 흐름 유사…2011년에 3차례 걸쳐 0.75%P 인상
다음달 한은 금통위 ‘빅스텝’ 여부 이목… “빅스텝 이미 시그널을 줬다” 분석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이달 16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조현욱 기자 gusdnr8863@ (이투데이DB)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P) 올리는 자이언트 스텝까지 단행하면서 물가 잡기에 나섰다. 우리나라도 미국 인플레이션 등의 영향으로 덩달아 물가 상승 압박을 받고 있다.

한국은행은 물가안정을 통화정책의 최우선 기조로 두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미국과의 금리차 역전 방지, 물가 상승 억제를 유도해야 할 시기다. 이에 일각에서는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3.25%까지 올렸던 2011년을 다시 주목하고 있다.

미 연준이 공개한 점도표(연준 위원들의 미래 금리 전망표)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은 연속된 금리 인상 결과 올해 말 기준금리가 3.4%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당초 3월 추정치보다 1.5%포인트 더 높은 수준이다.

일부 전문가는 현재 국내 경제 여건을 2011년과 비교하고 있다. 물가·유가·환율 상승 흐름이 당시와 유사하다는 이유에서다. 2011년 기준금리 수준을 보면 1월 0.25%P인상(2.5→2.75%), 3월 0.25%P인상(2.75→3.0%), 6월 0.25%P 인상(3.0→3.25%)했다. 3차례 걸쳐 총 0.75%P 올렸다.

금융연구원이 2012년에 작성한 ‘2011년 금융백서’를 보면 2011년은 전 세계적으로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경기부양을 위해 실시했던 대규모 재정지출이 경제성장의 부담으로 작용했던 시기다.

연구원은 “그리스를 비롯한 일부 유럽 국가들의 재정건전성 악화로 초래된 국가부도 위기가 유럽 전역으로 퍼졌으며 미국은 2011년 8월 재정여건 악화로 국가신용등급이 하향조정 되기도 했다”고 분석했다.

원·달러 환율은 9월 중에 1195.8원으로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당시 미국의 신용등급 하향 조정, 유럽 재정위기 재부각에 따른 은행 위기 전이 우려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진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2011년 당시 유가는 고유가가 지속됐다. 기획재정부가 2012년 2월에 발표한 ‘국제유가 동향 및 전망’ 자료를 보면 2월 이후 두바이유 가격이 연중 배럴당 100달러를 상회하는 고유가 지속됐다. 유가 상승 요인으로 비OECD 신흥국의 석유 소비 증가, 리비아 내전에 따른 원유공급 차질 등으로 꼽았다.

2011년에도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4.0%로 내다봤다. 이번 정부가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4.7%로 전망한 것과 유사하다.

시장 전문가는 “현재 흐름은 2011년과 비슷하다고 본다”며 “한국은행 역시 기준금리 수준을 2011년의 3.25% 수준까지 올릴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국내외 관심사는 한은이 다음 달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첫 ‘빅스텝(0.5%P 인상)’에 나설지다. 이창용 총재는 빅스텝 가능성에 대해 “시장 반응을 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은이 이미 ‘빅스텝’에 대한 시그널을 주기 시작한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한은의 결정에 여느 때보다 이목이 쏠리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