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증시 급락에 따라 반대매매 규모가 급증하는 가운데, 반대매매가 하락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라는 분석이 나왔다.
27일 케이프투자증권에 따르면 6월 평균 반대매매 금액은 212억 원으로, 지난달(165억 원) 대비 약 2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융자잔고도 급증하는 추세다. 지난 14일 기준 코스피의 신용융자잔고는 11조3500억 원으로 전체 시가총액의 0.60%를 차지했다.
통상 신용융자는 주가가 떨어지면 반대매매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어 증시의 변동성을 키우는 요인으로 꼽힌다. 개인이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에 투자하려면 일정한 담보비율을 유지해야 하는데, 주가가 하락해 담보비율을 맞추지 못할 경우 증권사가 주식을 강제로 청산하는 반대매매가 일어난다.
따라서 신용융자비율과 주가지수는 높은 동행성을 보이지만, 직접적인 이해관계로 보기에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손주섭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주가지수와 신용융자비율의 움직임을 직접적인 인과관계로 이해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며 “시가총액 대비 신용융자비율 규모를 따져봐도 코스피의 약 0.58%, 코스닥의 2.80% 수준에 불과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반대매매가 변동성을 일부 확대시킬 수는 있지만, 그 자체로 하락의 원인이 되지 못할 것”이라며 “신용반대 물량에 대한 과도한 수준의 공포는 지양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반면 반대매매 급증에 따른 수급 불안이 국내 증시의 주원인이라는 진단도 있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주 주가 하락은 대부분 증거금 부족에 따른 반대매매에 기인했다”며 “그동안 주가가 하락한 점을 감안하면 아직 ‘빚투(빚내서 투자)’ 청산은 완전히 마무리됐다고 보기 어렵다. 주식시장에 대한 부담은 좀 더 남아 있을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손주섭 연구원도 “하락장에서는 높은 신용융자율이 수급상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신용융자율이 지나치게 높은 상위 종목에 대해서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