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가 팔수록 '리베이트' 높은데…'6만원대 중간요금제' 잘 팔릴까?

입력 2022-07-11 17:5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판매점, 고가요금제 선호…통신비 절감효과 '미지수'

SK텔레콤을 시작으로 5G 중간요금제 도입이 구체화됐지만, 실제 통신비 절감 효과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다. 이동통신 3사가 판매점 등 유통채널에 리베이트(판매장려금)을 지급하는 상황에서 고가의 요금제 중심의 마케팅 구조가 고착화됐기 때문이다.

11일 과기정통부의 ‘2022년 5월 기준 무선통신서비스 통계 현황’에 따르면 국내 5G 가입자 수는 전월 대비 2.4% 증가한 2404만 명이다. 5G 가입자 수가 늘어나면서 수요에 따라 요금제를 다양하게 구성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현재 5G 요금제는 데이터 제공량 20GB(기가바이트) 미만의 5만원대 저가 요금제와 100GB(무제한 포함), 6만원 후반대 이상의 고가 요금제로만 구성돼 있다. 5G 이용자의 평균 데이터 소비량이 23~27GB인 것을 생각하면, 대다수 소비자에게는 사실상 고가 요금제 외엔 선택지가 없었다. 앞서 이통3사는 ARPU(가입자당 수입) 감소로 인한 수익성 하락 등을 이유로 5G 중간요금제 출시를 망설여 왔다.

이종호 장관 역시 이날 간담회에서통신사 CEO들에게 중간요금제의 조속한 도입을 촉구했다. SK텔레콤은 간담회에 앞서 중간요금제 출시 신고서를 과기정통부에 제출했다. 업계에선 월5만9000원에 24GB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안이다. 다만, SK텔레콤과 과기정통부 모두 요금제의 구체적 스펙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아울러 이날 KT와 LG유플러스 역시 내달까지 비슷한 수준의 중간요금제 도입을 약속했다.

다만, 5G 중간요금제 도입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의 통신비 절감에 큰 효과가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문제는 휴대폰 판매점의 판매구조에 있다. 이통사가 고가 요금제에 높은 ‘판매장려금(리베이트)’을 책정하면서, 판매점이 고가의 요금제로 소비자를 유치해야 하는 구조가 계속된다는 지적이다.

휴대폰 판매점이 통신사로부터 받는 수수료는 크게 ‘가입자관리비용’과 ‘판매촉진비(판매장려금+광고비)’로 구성된다. 소위 ‘성지’라고 불리는 판매점들은 이 판매장려금의 대부분을 소비자에게 지급하는 방식으로 가격경쟁력을 높여 소비자를 확보한다. 대신 이들 판매점은 소비자가 납부하는 통신 요금에 비례해 지급되는 ‘가입자관리비용’을 주 수입원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판매점 관계자는 “결국 고가 요금제를 유치할수록 ‘리베이트’가 커지고, ‘가입자관리비용’도 많이 받기 때문에 현장에서는 고가 요금제를 추천하려는 경향이 있다”라고 말했다. 중간요금제가 나오더라도 현재의 판매구조가 유지된다면, 현장의 고가요즘제 선호는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다.

이동통신요금 현실화는 정부가 바뀔 때마다 ‘민생안정’이라는 이름으로 추진돼 왔지만 그 효과는 매번 미미했다. 지난 문재인 정부 역시 ‘기본료 폐지’, ‘단말기 완전 자급제’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결국 국민에 실질적 혜택이 돌아간 사례는 거의 없었다. 이번 ‘5G 중간요금제’ 도입이 원래 목적인 민생안정과 소비자 선택권 확대를 달성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