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허파’라 불리는 아마존 열대우림. 최근 무단벌채 등으로 서울 면적의 1.5배가 넘는 면적이 파괴됐다는 소식이 전해져 국제적 우려를 샀습니다. 이대로라면 지구가 탄소에 절여져 돌이킬 수 없는 지경에 이를 것이란 전운이 감돌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런 상황에도 ‘솟아날 구멍’은 있는 걸까요. 일각에선 숲을 보존해 기후위기를 막을 마지막 희망이 남아있다고 합니다. 바로 숲이 있는 지역의 ‘원주민’인데요. 이 원주민들은 삼림 보호에 앞장서면서 수익을 확보한다고 합니다. 나도 살고 지구도 살리는 원주민들의 생존방식, 과연 무엇일까요?
이곳은 오래전부터 삼림을 둘러싼 갈등이 치열하게 벌어지던 곳입니다. 캐나다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시민불복종 운동으로 기록될 만큼 환경운동가와 원주민들이 벌목 중단 시위에 적극 참여해왔는데요. 결국, 원주민들이 승리한 것이죠.
주목할 점은 이번 중단 조치로 해당 지역의 대형 목재 기업 모자이크 포레스트 매니지먼트가 원주민 공동체에 수백만 달러를 지불하기로 결정했다는 것입니다. 이는 인근 원시림 보호에 앞장서는 원주민들이 숲을 보호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그 자금을 댄다는 명목으로 보이는데요. 기업 입장에서는 숲 사용료를 지불하는 셈이 되는 겁니다.
기금은 기업의 탄소배출권 판매 수익에서 얻을 것으로 보입니다. 모자이크 포레스트 매니지먼트는 삼림 보호에 동참한다는 차원에서 약 1억2000평이 넘는 숲 면적에 대한 벌목 행위를 최소 25년간 막을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얻은 탄소 배출권을 다른 기업에 판매해 약 2억3000만 달러(약 2990억 원)의 수익을 거둔 뒤, 원주민에게 배당하겠다는 것이죠.
원주민의 삼림 보호 역할을 인정해 이에 대한 경제적 대가를 제공한 사례는 캐나다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미 에콰도르나 파나마, 콜롬비아, 일부 아프리카 국가 등 주요 삼림을 가진 나라에서 이와 관련한 법 개정이 이뤄지거나 법원 판결이 내려졌습니다.
그럼에도 원주민의 사회·경제적 권한과 대가는 삼림 보호의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전 세계 미개발 산림의 3분의 1이 여전히 원주민 소유기 때문입니다. 그만큼 숲 인근의 원주민들에게 권한을 부여하면 그 역할을 충분히 해낸다는 뜻이겠죠. 그러니 충분한 대가 또한 보장되어야 한다는 겁니다.
실제 미국의 환경 관련 기업 와일드라이프 웍스의 마이크 코친스키 최고경영자는 WSJ와의 인터뷰에서 “숲을 보호하기 위한 원주민들의 권리와 지원을 보장하지 않고는 기후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또 4월 세계자원연구소(WRI)와 기후포커스(Climate Focus)가 발간한 연구보고서의 경우 남미 4개국(브라질·콜롬비아·멕시코·페루) 원주민들이 관리하는 삼림이 타 지역 삼림보다 탄소흡수량이 2배나 많다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원주민이 공동체를 배제한 채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달성하기는 상당히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한편 전 세계는 삼림 보호에 앞장선 원주민들을 위한 글로벌 동맹을 조직하기도 했습니다. 지난해 영국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6)에서 미국을 포함한 5개국과 국제기구는 원주민의 삼림보전 지원과 토지권 강화를 위해 17억 달러를 지원하기로 했는데요. 기후 위기가 한창인 현재, 원주민들이 지구를 살릴 마지막 희망이 될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