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어느 정도 경기침체, 인플레 완화에 필요
미국 물가상승률, 9.1%로 41년래 최고 수준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에 기술적 경기침체
진보 성향 싱크탱크 경제정책연구소(EPI)의 조시 비벤스 소장은 “높은 인플레이션도 나쁘지만, 경기침체는 더 나쁘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기침체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악영향을 이유로 들었다. 그는 “불황은 경제 전체가 평균적으로 더 가난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인플레이션보다 더 확실하게 임금을 갉아 먹는다”고 설명했다. 불황으로 기업이 어려워지면 심한 경우 대규모 실업을 피할 수 없고 그만큼 사람들의 고통이 커질 것이라는 지적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현재 9.1%로 41년래 최고 수준인 인플레이션을 잡고자 기준금리를 공격적으로 인상하고 있는데 이로 인한 경기침체가 훨씬 나쁘다는 주장이다.
엘리자베스 워런 상원의원도 “현재 인플레이션을 촉발하는 요인은 연준의 관할권 밖”이라며 “금리 인상이 인플레이션을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혼란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해서 금리를 올린다고 내려가진 않는다는 것이다.
워런 의원은 “금리 인상으로 소비가 위축되고 기업들의 자금 조달 비용이 늘어난다”며 “그 결과 기업들이 고용을 늦추거나 직원들을 해고하면서 저임금 노동자와 유색인종 노동자 수백만 명이 가장 큰 피해를 보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경기침체 예방이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한 것이다.
반면 경제학자이자 전 블룸버그 칼럼니스트인 노아 스미스는 “어느 정도의 경기침체는 인플레이션 완화를 위해 필요하다”며 “폴 볼커 전 연준 의장 시기의 인플레이션을 생각해보라”고 말했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 인플레이션으로 1980년 물가상승률은 14%까지 치솟았다. 연준이 볼커 당시 의장의 지휘 아래 고통스러운 금리 인상을 펼치고 나서 이후 두 차례의 경기침체를 겪고 난 뒤에야 인플레이션을 잡을 수 있었다.
스미스는 “사람들은 가벼운 경기침체는 용서하지만 높은 인플레이션에 대해선 정말로 분노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1857년 이후 34번의 경기 침체를 겪었다. 그러나 스미스는 모든 경기침체가 똑같이 치명적이고, 사람들의 분노를 산 것은 아니었다고 보고 있다.
경기침체의 긍정적인 기능을 보자는 입장도 있다. 라크슈만 아추탄 경제순환연구소(ECRI) 공동 창립자는 “경기침체에는 비효율적인 대기업들이 도산하고 고객의 요구를 더 민첩하게 충족시키는 스타트업들을 위한 공간이 생긴다”며 2008년 대공황 이후 나타난 에어비앤비, 우버, 왓츠앱 등을 예로 들었다.
미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분기 -1.6%에 이어 2분기 속보치마저 -0.9%로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해 기술적 경기침체 상태에 진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