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운드리 TSMC 53.6%ㆍ삼성 16.3%
칩4 동맹으로 차세대 반도체 시장 선점
“中, 반도체 수요 충족위해 제재 못할 것”
미국 주도의 칩4 동맹이 가시화되는 가운데 중국 보복 우려에도 불구하고 칩4 동맹은 ‘선택이 아닌 생존’ 문제로 여겨진다. 다만 우리나라 반도체의 상당 부분이 중국으로 수출되는 등 중국 의존도가 높은 만큼 후속 조치도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은 지난 2일 대만 방문 중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계 1위 업체인 TSMC의 류더인 회장을 만난 뒤 방한해 4일 정부 관계자들과 만났다. 업계는 방한 일정 이후 일본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칩4 동맹에도 속도가 붙었다고 보고 있다.
한국·미국·일본·대만으로 이뤄진 칩4 동맹은 동맹국 간 안정적 반도체 생산과 공급망 구축, 중국 견제를 목표로 한다. 미국은 반도체 설계를 맡고 일본은 반도체 소재·장비 공급, 한국과 대만은 반도체 제조와 생산 역할을 담당한다.
전문가들은 국가 간 얽히고설킨 반도체 시장에서 칩4 가입은 필수라고 입을 모은다. 김형준 한국과학기술원 차세대반도체연구소장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칩4 가입을 하지 않을 수는 없다”며 “반도체 밸류체인에서 빠지면 그에 대한 여파도 상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도체는 △설계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제조 △생산 등의 과정을 거치며 모든 영역이 중요하다. 한 국가나 기업이 모든 영역을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국가 간 협력은 필수다. 특히 반도체가 국가 첨단전략 산업인 만큼 뒤처질 경우 국가 성장 동력도 잃을 수 있다.
반도체는 메모리반도체와 시스템반도체로 크게 나뉘는데 전체 시장에서 메모리와 시스템반도체는 각각 30%, 70%의 비중을 차지한다. 메모리 강국으로 불리는 우리나라는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메모리 가운데 D램 시장에서 삼성전자·SK하이닉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70%를 넘어선다. 다만 파운드리를 비롯한 시스템반도체에서는 성장이 절실한 상황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1분기 TSMC와 삼성전자의 파운드리 시장점유율은 각각 53.6%, 16.3%였다.
TSMC는 지난해 4분기보다 1.5%p(포인트) 증가했지만 삼성전자는 2%p 하락하며 점유율 격차는 37.3%로 더 벌어졌다.
업계에서는 칩4 동맹이 결국 국내 기업들에도 유리할 것이라는 보고 있다. 설계, 생산 등 각 분야에서 강점을 가진 국가들의 협력이 차세대 반도체 시장을 선점하는 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칩4 가입이 국내 반도체 기업 경영에 제약을 걸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한다. 중국이 주요 시장인 데다 반도체 기업들의 생산 거점이어서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 낸드 생산라인과 쑤저우 테스트·패키징 공장이 있으며 SK하이닉스는 우시 D램 생산라인, 충칭 후공정 공장, 다롄 낸드 생산라인 등을 운용 중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달 전체 반도체 수출액 112억1300만 달러 중 35.2%인 39억5000만 달러가 중국으로 수출됐다. 지난해 한국의 반도체 수출액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0%였다. 홍콩을 더하면 전체의 60%에 달한다.
일각에선 중국이 당장 반도체 기업들에 보복 조치를 할 수 없다고 전망한다. 중국은 메모리를 2025년까지 70% 국산화를 달성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업계에서는 중국의 목표가 현재 16%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 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하면 6% 수준이다.
김 소장은 “중국 우방국 중 반도체를 제조하는 나라가 없고, 넘쳐나는 자국 내 반도체 수요를 감당하려면 당장 국내 반도체 기업들을 제재하긴 어려울 것”이라며 “아마 자체 생산에 드라이브를 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업들이 중국 보복에 대비해 전략을 짜는 것도 중요하지만, 칩4 동맹 가입 이후 나타날 수 있는 여러 시나리오를 고려해 정부가 구체적인 지원책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