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네트워크와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와 부경대 연구팀 등은 4일 경남 김해 낙동강 대동 선착장에서 ‘2022년 낙동강 국민 체감 녹조 현장조사’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환경단체는 “심각한 녹조 현상은 4대강사업 이후 낙동강에서 벌어진 불행한 현실”이라며 “2012년부터 대규모 녹조 현상으로 인해 ‘녹조라떼’라는 신조어가 나왔지만, 10년 동안 정부는 손을 놓고 있다시피 했다”고 비판했다.
또한, “낙동강은 지금 정상이 아니다. 지난해 낙동강의 마이크로시스틴 농도는 미국 연방 환경 보호청(EPA) 물놀이 금지 기준의 최대 740배가 나왔고, 6월에 채수한 물에서 최대 1075배라는 믿을 수 없는 결과가 나왔다며 ”녹조 가득한 물이 논과 밭으로 공급되고 있고 이런 물이 취수장을 거쳐 수돗물 정수장으로 들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독성물질로 인체에 흡수되면 암을 유발하거나 간·폐·신경계에 악영향을 끼치고, 정자와 난자를 감소·변형시킬 수 있다.
최근 부경대학교 이승준 교수팀이 대구 수돗물에서 미량의 마이크로시스틴을 검출했다는 분석 결과를 내놨고, 올해 초 낙동강 물로 재배한 쌀에서도 검출됐다는 환경단체 주장도 나왔다.
부산시는 부산지역에 공급하는 정수 처리한 수돗물에는 마이크로시스틴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며 안전성에는 이상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부경대 연구팀의 분석 방법(ELISA)은 일종의 간이검사로 신뢰도가 낮고, 정확한 검출을 위해서는 환경부가 고시로 정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방식으로 검사해야 한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부산시에 따르면 부산의 식수원인 물금·매리 취수장의 남조류 세포 수는 지난달 25일 ㎖당 14만4450개로 녹조 조사 사상 최대 수치를 기록했다.
환경단체는 “낙동강의 수문을 열어 강을 흐르게 해 강이 지닌 본래의 자연성을 회복해야 한다”며 “그것이 가장 확실하면서도 비용이 가장 적게 드는 방법이고, 곪아 터진 녹조 환경재난을 해결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환경운동연합과 대한하천학회·낙동강네트워크와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은 6일까지 낙동강 전 구간 현장 조사를 통해 녹조 독소 농도를 분석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