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사라진’ 통계 푸드마일리지

입력 2022-09-14 05: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최근 기자가 찾았던 한 기업체의 유기농 농장에서는 배추, 블루베리 등 직접 기른 먹거리가 농장 내 커피숍과 식당에서 활용돼 식탁에 즉각 올랐다. 유통거리를 단축해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푸드 마일리지’ 사례로 여겨졌다. 국내 푸드 마일리지 현황을 살펴보니, 정부의 관련 통계는 10여 년 전에 머무른 채 제대로 집계되지 않고 있었다.

잦은 폭염과 폭우 등 기후위기가 가속화되면서 먹거리 산업 분야도 탄소 배출량 감축이 화두다. ‘푸드 마일리지’는 농수산물이 생산자 손에서 떠나 대형마트 등을 거쳐 우리 식탁 위에 오를 때까지의 총 거리다. 해당 데이터에 근거해 이산화탄소 배출량 측정이 가능하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탄소배출량이 늘기 때문에 푸드 마일리지를 줄이는 게 핵심이다.

이미 전 세계적으로도 먹거리 산업 내 탄소배출 감축은 추세로 자리했다. 유럽은 ‘농장에서 식탁까지’ 전략을 필두로 행동강령을 발표했고, 일본은 ‘녹색 식량시스템 전략’에 가축 유래 메탄가스를 억제하는 사료를 개발하는 등 구체적인 강령을 담았다.

환경부도 푸드 마일리지를 앞세워 먹거리 탄소배출 감축에 관심을 둔 때가 있었다. 문제는 그 관심이 10년 전에 멈춰 있다는 점이다. 2010년 기준 우리 국민 1인당 푸드 마일리지를 측정해 2012년 발표했지만, 그 이후 통계 발표는 없었다. 사안에 대한 무관심의 방증이다.

그나마 올해 4월 농촌진흥청이 발간한 ‘로컬 식재료를 이용한 푸드 마일리지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출방법’ 책자는 정부가 푸드 마일리지에 보인 최소한의 관심일 테다. 하지만 역부족이다. 푸드 마일리지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론만 있을 뿐, 데이터 측정이라는 실천적 행동이 결여됐다.

유엔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31%가 농업과 식량 생산 등 먹거리 활동에서 발생된다고 했다. 이미 소비자는 비거니즘 운동으로, 기업은 스마트팜 기술 확충 등으로 저탄소 식탁 꾸리기에 돌입했다. 이제는 정부가 세심한 측정 플랜을 앞세워 의지를 보여야 할 차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