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태양광업계, ‘고생 끝에 낙’? 좋아하긴 이르다

입력 2022-09-22 05:00수정 2022-09-22 07: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다솜 산업부 기자

최근 산업계 관계자를 만나면 태양광 업계가 드디어 터널을 벗어났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국제유가 급등 등 호재가 연이어 터지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그간 국내 태양광 업계는 중국의 공세에 밀려 긴 시간 침체기를 맞았다. 중소업체들은 줄도산했고, 국내 유일 잉곳·웨이퍼 생산기업이었던 웅진에너지도 부진 속에 파산했다. 비단 작은 기업만의 문제는 아니다. 국내 최대 태양광 업체 한화솔루션 역시 지난 1분기까지 6분기 연속 적자를 면치 못했다. 업황 침체가 지속하자 2018년 잉곳 생산을 중단하고, 2020에는 폴리실리콘 사업마저 철수했다.

신재생에너지 시장 최강국이 나서자 상황은 바뀌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시행하면서 태양광 패널을 비롯한 ‘그린사업’에 천문학적인 비용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 덕에 한화솔루션과 폴리실리콘 생산업체 OCI 등 국내 태양광 업체가 최대 수혜자로 떠오르게 됐다.

분명 국내 태양광 업계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된 것은 맞다. 그러나 업황 호조에 마냥 좋아하기만은 이르다. 태양광 공급망을 주무르고 있는 중국이라는 벽이 있어서다. 태양광 밸류체인에서 올해 상반기 기준 중국의 생산 비중은 △폴리실리콘 78% △웨이퍼 97% △태양전지 85.5% △모듈 80.6%에 달한다. “중국 없인 태양광 못 만든다”는 말이 농담처럼 들리지 않는 이유다.

지난 시간 국내 태양광 업계가 침체했던 원인은 중국 업체의 저가 물량 공세다. 중국이 밸류체인을 사실상 장악하면서 비슷한 상황이 반복될 확률이 더욱 커졌다. 지난 악몽이 되풀이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런 가운데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문재인 정부 시절 태양광 사업 비리와 관련해 사법처리를 언급하면서 여야가 다툼을 이어가고 있다. 결국 태양광비리진상규명 특별위원회까지 구성됐다. 정책 시행 과정에서 석연치 않은 점이 있었다면 실상을 밝히는 것이 맞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겨우 볕 든 국내 태양광 사업이 정치 싸움에 매몰돼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국내 기업이 중국 공급망에 휘둘리지 않고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비리를 밝히는 것만큼 중요한 일이다. 지원 방안 마련이 위원회 구성만큼 빠른 속도로 이뤄지길 바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