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화 따른 지하수 남용으로 침하 가속화
전 세계 침하 속도 상위 20개 도시 중 17곳이 아시아
자카르타는 이미 면적 60%가 해수면 ‘이하’
앞서 세계은행(WB)도 지난 6월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전 세계에서 수해 위험에 노출된 인구가 18억 명이 넘고, 그중 70%에 해당하는 약 12억4000명이 동남아시아에 집중돼 있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올해 대규모 수해는 주로 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했다. 파키스탄에서는 6월 국토 3분의 1이 물에 잠기고 3300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방글라데시와 중국, 인도에서도 수십 년 만의 최고 강우량을 기록한 폭우와 홍수로 사망자가 속출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 로드아일랜드 대학원 연구팀이 2015~2020년 사이 세계 99개 도시의 지반침하 속도를 인공위성을 활용해 측정한 결과 상위 20개 도시 중 17개가 아시아에 있다. 가장 심한 지역은 중국 톈진이었다. 이 지역은 연간 52㎜ 속도로 지반이 내려앉았고, 인도네시아 자카르타(34㎜)와 방콕(17㎜) 등 동남아 주요 도시도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전문가들은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해수면이 연간 2㎜ 상승하는 반면 지반침하는 이보다 5~20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침하를 부추기는 원인으로는 도시화가 지목된다. 생활용수나 공업용수로 지하수가 과잉으로 사용된 영향이다. 개발 목적으로 하천 등에 있는 토사를 과도하게 채취한 것도 침하를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아시아 주요 도시는 대체로 연안이나 하천 저지대에 있어 연간 수㎝의 침하라도 방치하면 침수 피해가 확대된다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이미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 면적의 60% 이상이 해수면 이하인 ‘제로미터 지대’가 된 상태다. 이와 관련해 WB는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자카르타 북부가 2025년까지 해수면 아래 4~5m까지 침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지반침하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해마다 심각해지고 있다. 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홍수와 폭우 등 기상 관련 재해 피해액은 2010~2019년 사이 1조3810억 달러(약 1854조 원)로 2000~2009년에 비해 50% 늘었다. 특히 세계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아시아에서 수해 리스크가 커지면 글로벌 경제 회복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닛케이는 “아시아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지반침하를 막고 수해에 강한 도시를 만드는 것이 급선무”라면서 “침하를 막으려는 정책 마련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과거 도쿄의 지반침하를 억제한 정책적 성과를 소개했다. 일본의 고도성장기였던 1950~1970년대 도쿄에서 연 20㎝의 침하를 기록한 곳도 있을 정도로 빠르게 침하가 진행됐지만, 법률과 조례 제정 등을 통해 지하수 취수를 제한함으로써 침하를 억제하는 효과를 거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