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국무회의서 '제1차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 확정
정부는 22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극지활동 진흥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국무회의에서 심의·확정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남북극을 포괄하고 과학연구, 경제활동, 국제협력, 인력양성 등 극지활동 전반을 아우르는 최초의 법정 기본계획으로 '국민을 위한 극지선도국가: 미지를 향한 도전, 미래를 향한 도약’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5대 추진전략과 프런티어 과제로 9개를 선정, 집중적으로 추진한다.
주요 내용을 보면 우선 2030년까지 남극 내륙에 세계 6번째 기지를 건설한다. 남극 내륙을 탐사하기 위해서는 빙하가 갈라져서 생기는 틈인 ‘크레바스’를 피해가야 하는 등 어려운 고난도의 탐사기술이 필요해 내륙에 기지를 보유하고 있는 미국, 러시아, 일본, 프랑스+이탈리아, 중국 등 6개국만이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정부는 내륙기지를 위한 최적 거점을 찾으면서 동시에 100만 년 전의 공기가 그대로 담긴 3000m 깊이의 심부빙하와 빙하의 2000m 아래에 있는 빙저호를 시추해 미생물의 존재를 탐색한다.
또 2026년까지 1만5000톤급 제2 쇄빙연구선을 건조해 기존 쇄빙연구선(아라온호)으로 진입하기 어려웠던 북위 80도 이상의 고위도 북극해까지 진출한다. 고위도 북극해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에 필수적인 해빙(海氷) 현장 관측, 북극해 공해 상의 수산자원 모니터링 등의 연구가 가능하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을 기반으로 2027년부터는 아시아 최초로 북극해 국제공동연구를 주도할 계획이다.
극지는 기후변화의 최전선이다. 극지의 환경 변화를 관측하고 이러한 변화가 전 지구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면 기후위기 시대 인류의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정부는 2025년까지 북극 전역 해빙(海氷) 변화의 실시간 관측을 위한 초소형위성을 개발하고 2027년까지는 대기-해양-해빙 통합모델 기반 북극발 한반도 재해기상을 예측한다. 또 2027년까지 남극 전역 빙상 용융에 따른 전 지구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를 제시할 계획이다.
극지산업 기반도 마련한다. 2026년까지 친환경 쇄빙 컨테이너선 건조 기술 확보를 통한 북극항로 운송 기반을 마련하고 2027년까지 북극권 친환경 수소에너지 기반 탄소제로 연구 인프라를 조성한다. 2029년까지는 극지 생물자원을 활용한 항균, 면역기능조절물질 등 신규 의약물질을 확보한다.
아울러 범정부 극지정책 협의체를 구축해 극지와 관련된 다양한 이슈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북극권 8개 국가와 맞춤형 협력사업을 발굴·추진함으로써 북극이사회 옵서버 국가로서 영향력을 확대한다. ‘북극 과학장관 회의’, ‘남극조약 협의당사국 회의’ 등 주요 국제회의 국내 개최를 추진해 극지 거버넌스의 의제를 주도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한다.
북극협력주간은 확대 개편해 노르웨이의 ‘북극프런티어’, 아이슬란드의 ‘북극써클’과 함께 세계 3대 북극포럼의 위상을 확보하고 남극 관련 국내외 전문가들이 교류할 수 있는 플랫폼인 ‘남극 포럼’을 2024년 신설한다.
민간 참여를 위해서 내년까지 국내에 극지와 유사한 환경을 재현한 연구·실험 시설을 구축해 산업체·연구기관 등에 실험과 장비 활용을 지원하고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에 따른 민간 참여 공모 과제도 확대한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오늘 발표한 기본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새로운 첨단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열쇠를 찾아 나서겠다"며 "대한민국이 인류의 미래를 밝히는 극지활동의 세계적 선도국가로 자리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