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자물가 7.3%, 넉달째 상승폭 둔화해 1년4개월만 최저나 여전히 고공행진 중
전력·가스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30%를 돌파하며 41년9개월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전기 및 가스요금이 줄줄이 인상된 탓이다. 최근 천연가스 수입단가가 하락해 도시가스 요금을 중심으로 한풀 꺾일수 있겠지만, 전기요금의 경우 내년에도 인상이 예고돼 있어 당분간 고공행진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생산자물가는 넉달연속 상승폭이 둔화해 1년4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라는 점에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한풀 꺾일 수 있겠지만, 여전히 7%대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10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동월대비 7.3% 상승한 120.61을 기록했다(2015년 100 기준). 6월 10.0%까지 치솟은 후 넉달연속 상승세가 둔화한 것으로 2021년 6월(6.6%)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생산자물가의 근원인플레라 할 수 있는 식료품 및 에너지이외지수도 4.5% 상승한 117.20을 보였다. 2021년 3월(3.8%) 이후 1년7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는 국제유가 등 상승폭 둔화에 공산품을 중심으로 오름폭이 둔화한 때문이다. 실제 공산품은 7.7% 올라 2021년 3월(5.7%) 이후 최저치를 보였다. 석탄 및 석유제품(32.9%)과 제1차금속제품(3.4%) 상승세가 주춤했다.
서정석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우크라이나 사태 등이 어떻게 변화할지 모른다. 환율과 유가 등 주요 변수들도 지켜봐야한다. 소비자물가(인플레)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반면, 전력, 가스, 수도 및 폐기물은 32.4% 급등한 134.67을 기록했다. 이는 1981년 1월(55.3%) 이후 최대 상승폭이다.
10월부터 전기·가스요금이 동시에 오른 것이 영향을 미쳤다. 실제, 한국전력은 10월1일부터 연료비 급등과 요금현실화를 이유로 전기요금을 1㎾h당 7.4원 인상했다. 가정용 전기요금은 약 5%, 도시가스 요금은 약 16%가 올랐다.
또 다른 한은 관계자는 “전기 및 도시가스 요금이 원가를 반영하며 인상됐다. 전기요금은 매분기초 조정한다는 점에서 내년 1월은 돼야 다시 조정될 것으로 보이나, 도시가스요금은 매달 조정된다. 전기요금에 시차를 두고 반영되는 벙커C유나 LNG(액화천연가스) 수입단가가 최근 떨어지고 있어 다음달엔 오름폭이 둔화할 것으로 본다”면서도 “높은 오름세는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