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스태그플레이션 빠지나…성장률, 내년 상반기 1.3% ‘잠재성장 밑돈다’

입력 2022-11-24 13: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내년 경제성장률도 2.1%에서 1.7%로 대폭 하향 조정, 코로나19 발발 이래 최대폭
주요국 경기 동반 부진 탓…내년 하반기는 돼야 부진 점차 완화할 듯
소비자물가 내년에도 상고하저 속 3%대 흐름 지속

(한국은행, 통계청)

우리 경제가 경제불황 속에서 물가가 상승하는 소위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지는 것은 아닌지 우려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경제성장세는 내년 상반기 중 1%대까지 떨어지며 2% 전후로 예상되는 잠재성장률 수준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 반면, 소비자물가는 한은의 물가안정목표치인 2%를 훌쩍 넘는 3~4%대 오름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됐기 때문이다.

24일 한국은행이 새롭게 내놓은 ‘경제전망’ 자료에 따르면 내년 경제성장률은 1.7%로 예상됐다. 이는 직전 전망치 2.1% 대비 0.4%포인트나 낮춰 잡은 것이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발 이후인 2020년 8월 2020년 경제성장률을 1.1%포인트 낮춰(-0.2%→-1.3%) 예상한 이래 가장 큰 폭의 하향 조정이다.

특히 내년 상반기는 기존 1.7%에서 1.3%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하반기 역시 기존 2.4%에서 2.1%로 내다봤다. 반면, 올해 성장률은 기존과 같은 2.6%를, 처음 예측한 2024년 성장률은 2.3%로 전망했다.

내년 소비자물가는 3.6%로 예측했다. 기존 전망치(3.7%) 대비 0.1%포인트 하락에 그쳤다. 상반기 중엔 기존 4.6%에서 4.2%로 낮아지겠지만, 하반기엔 기존 2.9%에서 3.1%를 예상해 되레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결국 높은 인플레 상황이 내년 중 지속될 것으로 본 셈이다.

올 소비자물가는 5.2%에서 5.1%로 소폭 낮췄고, 2023년 전망치는 2.5%로 제시했다.

이와 관련해 이창용 한은 총재는 “성장률 하향폭의 90% 이상은 대외 주요국 성장률이 낮아지는 등 대외요인으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기준금리를 올린 효과는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상쇄돼 크지 않다”며 “물가는 전기가스 요금 인상이 내년에도 예정돼 있는데다, 임금인상과 서비스가격 상승이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스태그플레이션은 정의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전제하면서도 “성장률은 내년 하반기 중 반등할 것으로 보이고 물가도 점차 안정세를 찾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스태그플레이션이라는 평가는 과도하다”고 설명했다.

민간소비는 펜트업 효과가 이어지면서 회복세를 이어가겠으나, 실질구매력 저하, 금리상승 등으로 회복속도는 점차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설비투자는 글로벌 수요 둔화와 자본조달비용 상승으로 위축될 것으로 봤다. 건설투자 역시 주택수요 둔화와 정부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감소로 부진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성장에 대한 지출부문별 기여도를 보면 내수는 올 1.8%포인트에서 내년 1.4%포인트로 낮아졌다가 2024년 1.5%로 소폭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다. 수출은 같은기간 0.8%포인트, 0.3%포인트, 0.8%포인트로 예측해 여전히 부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상수지는 올해 250억달러에서 내년 280억달러, 2024년 480억달러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올해와 내년 직전전망치가 각각 370억달러와 340억달러였다는 점에 비춰보면 역시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한 셈이다.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도 금년과 내년 중 1%대 중반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밖에도 고용부문을 보면, 취업자수는 올 82만명에서 내년 9만명, 2024년 15만명으로 예상했다. 올해와 내년 기존 전망치는 각각 74만명과 14만명이었다. 실업률은 올해와 내년은 각각 기존 전망치 대비 0.1%포인트 낮춘 3.0%와 3.4%를 전망했고, 2024년엔 3.3%로 내다봤다.

한은은 성장경로상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상방리스크로는 주요국 통화긴축 완화, 중국 제로코로나 조기 완화, 소비회복 모멘텀 지속 등을, 하방리스크로는 국내외 금융불안 심화, 높은 에너지가격 지속, 지정학적 긴장 고조 등을 꼽았다.

(한국은행)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