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산업 분야 일손 부족…생산 단계별 맞춤 인력 양성 필요”

입력 2022-12-07 13:3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대한상의, 7일 ‘신산업분야 인력양성 방향’ 포럼 개최

▲(출처=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신산업 현장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연구인력과 현장인력을 구분해 양성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사업단은 7일 서울 중구 ENA호텔에서 ‘산업구조 변화와 신산업분야 인력양성 방향’을 주제로 정기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학계와 정부, 산업계 전문가들이 신산업분야 직업 훈련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전문가들은 국내 산업이 경쟁력에서 선도 위치를 점하기 위해서는 석·박사급 연구인력 양성에 치우치지 않은 현장 실무인력 확보가 최우선 과제라고 입을 모았다. 하지만 현재 정부정책과 직업훈련 프로그램은 현장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 핵심 주력 사업인 반도체 산업 역시 인력난 심화가 우려된다. 7월 반도체 산업협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반도체 산업 규모 확대에 따라 산업인력이 현재 약 17만7000명에서 10년 후 약 30만4만000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연간 직업계고·대학(원)에서 배출되는 반도체 산업인력은 약 5000명으로 현행 공급 체계 유지 시 인력난 심화가 전망된다.

기조발표에 나선 이장원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전산업의 디지털 전환 확산과 이에 따른 급변하는 노동시장의 상황을 설명하며 “인력수요 측면에서도 신산업 육성정책은 중요하지만 당장 시급한 것은 현장 실무인력 부족 문제로 석·박사급 인재에만 치우치지 않는 균형적 인력 양성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선임연구원은 “일자리 창출보다 중요한 것이 인재 역량이고 소수만이 아닌 균형을 맞춘 전 인력의 인재화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 근로자 개인의 노력도 중요하지만 전 근로자와 예비취업자에 대한 직업훈련 등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나동만 한국직업능력 연구위원은 “신산업 인력양성 정책은 인접 산업의 경력자들이 전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인력이 유출되는 하위산업에는 생산에 지장이 없도록 구인난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설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각 산업 현장 경험이 많은 노동자의 전직, 향상훈련으로 노동자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정책과 기업의 직업훈련 프로그램이 유기적으로 연동될 때 효율성 높은 인력 양성이 가능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재왕 대우로지스틱스 이사는 이차전지 수요전망 및 관련 파생 산업을 언급하며 “2차전지 전체 밸류체인을 볼 때 단계별로 연계된 전문 지식 등 교육이 필요하다”며 “석·박사급 연구설계인력, 학사급 공정인력, 현장 실무인력으로 구분하여 소부장 시험평가센터 같은 기반 시설을 적극 활용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규민 삼성전자 반도체 연구소 박사는 “한국이 디스플레이 시장 1위 자리를 중국에 내주게 된 것은 전문 산업 육성책이 국정과제로 채택되고 있지 않고 인력 육성정책이 체계적으로 실행되고 있지 않은 것이 주요 이유”라며 “국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인력 양성 계획이 석·박사급 인재에만 치우치지 않고 현장실무인력 양성에도 적용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