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농기계 시장, 세계시장 1% 수준…한국판 ‘존디어’ 육성해야"

입력 2023-01-19 08:4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경련, '농기계 산업 글로벌 동향과 한국의 과제' 보고서 발표

한국 농업이 직면하고 있는 복합위기를 극복하고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농기계 산업 위한 혁신적인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전경련)는 19일 ‘농기계 산업 글로벌 동향과 한국의 과제’라는 보고서를 통해 자율주행・로보틱스 등 첨단산업으로 진화하는 농기계 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글로벌 식량위기가 장기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경련 관계자는 "쌀・밀・옥수수・콩 등 노지재배 식량작물 생산에 활용되는 농기계 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며 "글로벌 농기계 산업의 시장 규모는 약 1570억 달러(약 200조 원)로 추정되며 매년 5% 이상 꾸준하게 성장하는 유망한 산업군"이라고 설명했다.

주요 기업으로는 미국의 존디어(John Deere)와 아그코(AGCO), 영국의 CNH, 일본의 구보타(Kubota) 등이 있으며, 이들 상위 4개 기업이 세계시장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다.

농기계 글로벌 선도기업들은 농업의 패러다임이 첨단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농업’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트랙터, 콤바인 등 전통적인 농기계에서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농업용 자율주행 및 드론 분야로 사업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전 세계 농업용 자율주행 및 드론 분야는 2025년까지 각각 26억 달러(약 3조3000억 원) 및 17억 달러(약 2조2000억 원) 규모로 성장(연평균 18% 이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개최된 CES 2023에서 기조발표로 많은 관심을 받은 농기계 글로벌 1위 기업인 존디어는 이미 유인 자율주행 단계(level 2)의 트랙터를 양산하고 있다. 특히 완전 무인 자율주행 단계(level 4)의 트랙터에 대한 연구개발까지 완료했다.

일본의 대표적 농기계 기업인 쿠보타도 최근 이스라엘의 스타트업에 투자해 과일 수확용 드론 사업에 진출하는 등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일본 농업 환경에 적합한 기술 확보에 힘쓰고 있다.

전경련 관계자는 "한국 농업을 둘러싼 여건은 그리 녹록지 않아 농기계 산업 육성을 통한 생산성 개선이 시급하다"며 "한국은 고질적으로 낮은 식량·곡물 자급률로 인해 글로벌 식량 위기에 구조적으로 취약하다"고 말했다.

이어 "농업인구의 고령화로 인력수급이 어려우며, 논농사보다 밭농사 기계화율(62%)이 낮아 생산성이 저조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의 농기계 산업 현황을 살펴보면, 내수시장 규모는 2021년 기준 2조3000억 원으로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이 1.7%에 그쳤다. 주요 기업으로는 대동, LS엠트론, TYM 등이 있으나, 매출 규모 측면에서는 글로벌 기업에 비해 영세하다.

또한, 최근 우리 기업들도 치열한 연구개발을 통해서 기술 수준을 높이고는 있지만, 농기계 분야에서 우리 기업들의 기술 수준은 선진국 대비 약 3년 정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은 "앞으로 농기계 산업은 기존의 전통 기계산업에서 자율주행, AI, 빅데이터 등 다양한 첨단기술 분야가 결합한 모빌리티, 로보틱스로 진화하고 있어 기존의 칸막이형 연구·개발(R&D) 지원보다는 여러 가지 요소기술들을 아우를 수 있는 ‘융복합형’ R&D 추진정책이 필수적"이라고 분석했다.

이를 위해서는 농기계 관련 연구기관인 △농촌진흥청 △기계연구원 △생산기술연구원 등을 포괄하는 산학연 연계 클러스터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이를 법적・제도적으로 강력하게 지원할 수 있도록 현재 국회에 제출된 ‘스마트농업육성법’도 조속히 통과돼야 한다"며 "첨단 농기계 관련 R&D나 설비에 투자하는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 적용도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농업 분야에서도 과거와는 달리 산업정책적 마인드가 정말 중요해졌다”며 “수출 부진 등 한국 산업 전반의 경제활력이 많이 위축된 상황에서 농기계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한다면 식량・농업위기 극복과 신성장 동력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