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이 '탈(脫)원전 정책' 폐지에 시동을 걸며 첫 원전 수출 성과를 낸 시점은 지난해 8월이다. 이집트 엘다바 원전 프로젝트 참여가 결정되며 10억 달러(한화 약 1조2000억 원)를 수주했으며 이는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술 이후 13년 만이다.
10월 31일엔 폴란드 민간발전사(ZE PAK)와 국영 전력공사 PGE 등이 주도하는 퐁트누프 원전 4기 건설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산업부는 폴란드 국유재산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고, 한국수력원자력이 ZE PAK과 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사업을 따낼 경우 그 규모는 최소 300억 달러(약 37조 원)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UAE 바라카 원전 사업 4기의 사업 규모도 약 300억 달러였다.
이는 앞서 윤 대통령이 지난해 6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담에서 적극 '원전 세일즈'를 벌인 점도 한몫했다. 당시 체코, 폴란드와 각각 9건의 원전 협력 MOU도 체결했다.
이외에도 체코, 튀르키예, 필리핀, 영국 등 각종 원전 수주가 남았다. 특히 올해 9월엔 체코 두코바니 원전 최종 입찰이 결정된다. 한국이 수주하면 60억 유로(약 8조 원) 규모의 사업비를 얻게 된다.
폴란드 원전 4기, 체코 원전 1기에 이어 튀르키예, 영국, 우간다, 루마니아 등에서 원전 사업을 따낸다면 임기 내 원전 10기 수출이란 목표도 어렵진 않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최근 국빈 방문을 계기로 UAE로부터 300억 달러 규모 투자를 이끌어냈으며 이 중 일부는 원전 투자에도 쓰일 예정이다. 또 양국은 '제3국 원전 수출 공동 진출' 등 경제 협력의 발판이 될 정부·기업 간 MOU도 대거 체결했다.
다만, 원전 수출길이 온전한 탄탄대로는 아니다. 경쟁자인 웨스팅하우스가 폴란드 원전 수주 당시 '한국전력공사, 한수원이 한국형 원전 APR1400에 우리의 기술을 사용했다'며 미국 법원에 제소한 상태다. 해당 소송은 이후 수주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불안한 국제 정세 속에서 수주국은 미국 정부와 연관성을 고려해 웨스팅하우스의 손을 들어줄 가능성도 크다. 폴란드 민간사업 외에 정부가 주도하는 6기 건설 사업 수주전 때도 한국형 원전이 더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국제 정세 탓에 웨스팅하우스에 밀렸다는 평가가 나왔다.
윤 대통령이 국정과제로 내건 고준위방폐물관리법(고준위법) 추진도 과제다. 고준위법은 원전 가동 후 나오는 핵연료를 처리하고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법안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고준위 방폐물 관련해서 법 제정하고 있는 것이 올해의 중요한 과제"라며 "에너지 쪽에선 원전 수출과 함께 중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