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직원들의 임금을 인상하지 못한 기업의 절반은 지난해에도 임금인상을 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복합위기에 따른 어려움이 지속적으로 기업에 악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사람인 HR연구소는 기업 332개 사를 대상으로 ‘2023년도 임금인상 현황’을 조사한 결과 올해 연봉을 인상하지 못한 기업의 절반(44.9%)가량은 작년에도 임금을 올리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2년 연속 임금이 제자리걸음이거나 후퇴하고 있는 셈이다. 심지어 40.8%는 인력 구조조정 시행을 확정했거나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임금을 인상한 기업의 수는 10곳 중 7곳이었다. 응답한 기업의 67.5%가 올해 임금을 결정했다고 답했고, 이들 중 임금을 인상한 기업은 78%였다. 나머지 22%는 동결 또는 삭감했다.
임금을 인상한 기업들(175개 사)의 경우 평균 인상률은 6.4%였다. 인상율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은 경영진의 결정(24.6%)으로 조사됐다. 이어 ‘개인 실적’(19.4%), ‘물가 인상률’(18.3%), ‘전사 실적’(17.7%)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이 임금을 올린 이유는 ‘최저임금과 물가인상 때문’이라는 답변이 69.1%(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2위는 ‘직원 사기를 높이고 이탈을 막기 위해서’(44%)였다. 이밖에 ‘기존부터 관행적으로 인상해오고 있어서’(13.1%), ‘업계 전반적으로 연봉이 상승하고 있어서’(11.4%), ‘경영성과 또는 재정 상황이 좋아져서’(10.9%) 등으로 조사됐다.
연봉을 동결했거나 삭감했다고 답한 기업들(49개 사)은 ‘작년 실적이 좋지 않아서’ 42.9%(이하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꼽았다. ‘비용 절감이 필요해서’, ‘올해 매출 악화가 예상되어서’는 각각 26.5%로 공동 2위였다. ‘재무 상태는 나쁘지 않지만 불확실성에 대비하기 위해서’(14.3%)라는 응답도 있었다.
연봉을 인상하지 못한 기업의 대부분은 최근 복합 경제위기의 여파를 이미 체감했거나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 작년에 겪었던 어려움이 올해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2~3년 뒤 미래의 연봉 인상 기조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40.4%가 ‘현재 수준에서 당분간 유지될 것’(40.4%)으로 내다봤다. 이밖에 ‘인재 확보 경쟁의 결과로 계속해서 인상될 것’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8%였다. ‘일부 인기 직종과 기술분야에 따라 양극화가 심해질 것’이라는 답변은 17.2%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