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는 은행 점포…노인들만 사는 지방도 줄줄이 문 닫았다

입력 2023-04-02 18:00수정 2023-04-03 07: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금융당국 압박에도 '디지털 금융'
서울·경기 오프라인 영업점 '뚝'
연 평균 160여 개 점포 문 닫아
노인 많은 지역 '금융 소외' 목소리
금융경제硏 "지역 경제 악화 부채질"

(그래픽=신미영 기자 win8226@)

온라인 뱅킹의 확산으로 전반적인 금융소비자의 편의가 높아지고 있지만, 그림자도 있다. 시대의 흐름 속에 오프라인 영업점이 사라지면서 금융 사각지대가 넓어진 것이다. 디지털 금융에 서툰 고령층은 자연스럽게 금융생활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다.

상대적으로 점포가 몰려 있는 서울·경기 지역의 은행 점포 폐쇄도 문제지만, 노인 비중이 많은 지방의 점포 수 감소는 지역 경제마저 더 악화시키는 등 사회적 문제가 된다.

2일 본지가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 기준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점포 수는 3992개로 집계됐다. 2015년(5093개) 대비 1101개 감소한 것이다. 2015년 이후 매년 평균적으로 160여 개의 점포가 문을 닫은 셈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은행 점포 수가 지난해 말 기준 1334개로, 2015년(1842개)에 비해 27% 감소했다. 이어 경기도는 같은 기간 1083개에서 856개로 20% 줄었다.

고령화 인구비율이 높은 지방에서의 점포 축소도 눈에 띄었다. 고령화 인구비율이 가장 높은 전라도(전남 25.2%·전북 23.2%)의 경우 지난해 12월 말 점포 수는 202개로, 2015년(234개)보다 13% 감소했다. 고령층이 많은 경상도(경북 23.8%·경남 19.5%)는 같은 기간 384개에서 321개로 16% 줄었다.

지난해 강원도의 경우 118개의 점포를 운영했는데, 이는 서울(1334개)보다 1000개 이상 적은 수치다.

지역별 인구에 따른 은행지점 수 현황을 살펴보면 전국 17개 시도 전체 인구 1만 명당 은행지점 수는 2016년 약 1.19개에서 2021년 약 1.01개로 감소했다.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인구 1만 명당 은행지점 수가 가장 크게 줄어든 지역은 제주도이며, 서울, 대구 순으로 줄었다. 서울과 부산, 대구, 광주를 제외한 13개 지역은 전국 평균 수준보다 낮으며 1만 명당 은행지점 수가 1개도 채 되지 않는다.

문제는 은행 점포 폐쇄가 단순히 금융 사각지대를 양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역 창업 등 지역 경제에까지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은행 폐쇄가 지역경제 악화, 인구 감소, 점포 폐쇄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고리로 연결될 수 있다.

금융경제연구소가 2월 공개한 ‘은행 영업점 축소 파급효과 분석과 은행권 대응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별로 은행 지점 수가 1% 늘어날수록 지역내총생산(GRDP)은 0.3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지점 수는 특히 지역 내 창업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보고서에 따르면 은행 점포 수 지역 내 신설법인 수는 0.73% 증가했다.

강다연 금융경제연구소 금융정책실 연구위원은 “금융 접근성이 악화될수록 창업 환경이 저해되고 지역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낸다”며 “지역별 실업률 증가는 지역 내 창업률을 높이며, 산업 밀집도를 나타내는 총사업체 수 증가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국내 은행들은 고령층 특화점포를 통해 금융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지난달 30일 우리은행은 서울 영등포에 고령층 특화점포인 ‘우리은행 시니어플러스’를 열었다. 시니어플러스점은 고령층의 금융 접근성과 편의성 제고를 위해 신설한 시니어 특화점포다. 일반 영업점과는 다르게 안락한 대기 장소와 고령층 친화적인 ATM기를 배치했다.

KB국민은행은 고령층 복지기관을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KB시니어라운지’, 신한은행은 고령층을 위한 ‘시니어 디지털 특화점포’를 운영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