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ESG 대응 위해 교육 등 맞춤 지원 강화”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은 19일 “정부는 기업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차원을 넘어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방 차관은 이날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이투데이 주최로 열린 ‘ESG포럼 2023’ 축사에서 “우리 경제·기업이 ESG를 적극 활용한다면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ESG가 2050 탄소중립과 맞물려 국제 사회의 거스를 수 없는 대세되고 있는 만큼 ESG를 우리 경제와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방 차관은 “올해 우리 기업의 최대 현안은 공급망 실사와 ESG 의무 공시”라며 “특히 유럽연합(EU)의 경우 공급망 실사를 연내 확정할 예정이며 협력업체까지 실사 의무를 부과해 우리 중소기업에 큰 부담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어 “또한 올해 상반기에 발표 예정인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ESG 공시 국제표준은 협력업체에서 발생하는 모든 간접 탄소 배출량(Scope3)까지 공시하도록 규정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이러한 국제 사회의 ESG 경영에 대한 요구가 그간 대기업에 국한됐다면 이제는 중소·중견기업까지 확장되고 있다는 게 방 차관의 설명이다.
방 차관은 “거세진 글로벌 ESG 열풍에 우리 중소기업이 연착륙 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교육·컨설팅을 확대하고, ESG 경영지원 플랫폼을 고도화하는 등 맞춤형 지원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ESG 공시 의무화와 관련해서는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산업계·투자자·민간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공시 의무화 방안 및 세부일정도 구체화하겠다고 했다.
방 차관은 또 “민간 ESG 생태계 저변 확대를 위해 ESG 투자를 활성화하는 한편, 적재적소에 자금이 공급될 수 있도록 그린·소셜 워싱(친환경적 특성 과장·위장된 사회책임) 방지에도 적극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작년 말에 녹색채권 가이드라인과 그린 택소노미(Green Taxonomy)를 개정한 바 있으며 ESG 투자 플랫폼을 구축해 투자자에게 ESG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방 차관은 “투자자 보호 등을 위해선 연내 사회적채권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한편, 지수 개발·연기금 등 공공부문 선도를 통해 민간 ESG 투자 확대를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