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새옹지마'라지만 미리 대비하고 있으면 불행을 피할 가능성이 커진다. 지난해 FTX사태 영향이 업계 전방위로 퍼졌다. FTX가 자체 발행 토큰인 FTT를 담보로 자금을 조달하며 부실 경영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뱅크런이 발생했다. FTX의 준비금은 고갈됐고 결국 파산했다. FTX 사태를 계기로 가상자산 거래소들의 준비금, 자체 발행 토큰이 도마 위에 올랐다.
글로벌로 퍼진 불안감 속에서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 끼친 직접적 영향은 비교적 적었다. 국내 거래소는 특정금융정보법(특금법)에 따라 고객 예치금과 가상자산사업자 고유 재산을 분리하고 있다. 또한, 사업자 본인과 특수관계인이 발행한 가상자산의 매매ㆍ교환 행위를 제한한다. 깐깐한 규제망이 큰 위기를 걸러냈다.
다만, 규제 밖에서 가상자산 예치 서비스를 중개하던 고팍스의 고파이에 문제가 발생했다. 고파이 투자자의 예치금 환급은 중지됐다. 특금법상 가상자산 예치 서비스는 규제 대상이 아니다. 그러던 와중 바이낸스가 고파이 소방수를 자처하며 고팍스 인수에 나섰다. 1차 유동성은 지급됐고 약 566억 원의 잔금이 남은 상태다. 고팍스가 공지한 당초 지급 예상일은 3월 말이었지만, 현재까지 완료되지 않았다. 바이낸스의 고팍스 인수 절차가 연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잔금 지급 조건은 금융정보분석원(FIU) 신고수리다. 현재 고팍스 운영사인 스트리미 등기이사로 올라온 바이낸스측 인원들에게 불수리 요건은 없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그러나 고팍스 대표이사로 새로 취임한 레온 풍 바이낸스 아태 총괄이 바이낸스 본사와의 연결성이 없다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바이낸스가 베일에 싸인 거래소라는 점, 장펑자오 바이낸스 CEO가 자금세탁관련 혐의, 시세 조종 등 리스크가 추가되며 신고 수리도 난항을 겪고 있다.
국내 가상자산 산업이 글로벌 사태 영향에서 비껴간 이유는 규제 안에서 사업 했기 때문이다. 풀리지 않은 문제가 산재한 바이낸스의 국내 진출은 시장에 부정적 신호를 줄 수 있다. 물론 바이낸스가 국내 시장에 들어오면서 생길 긍정적 효과도 있다. 업비트로 쏠린 거래량 확보, 해외 유동성 공급이 기대된다. 가장 중요한 건 고파이에 묶인 투자자 보호일 것이다. 투자자 보호를 위한 바이낸스의 국내 시장 진입이 새옹지마가 되지 않도록 다방면으로 재고 따져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