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운 우리말] 외래어야 외계어야?...외국어 범람하는 영화용어

입력 2023-05-26 0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영화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속 캐릭터 로켓과 그루트

한국에서 영화만큼 대중적인 지지를 받는 문화생활이 또 있을까. 지난해 1000만 관객을 돌파한 오락영화 ‘범죄도시2’는 모이는 행위 자체를 두려워할 수밖에 없었던 팬데믹의 장막을 시원하게 뚫었고, 올해 500만 관객을 넘어선 ‘스즈메의 문단속’은 훌쩍 올라버린 영화표 값의 부담에도 역대 일본 애니메이션 중 최고 흥행기록에 도달하는 역사를 썼다. 영화가 여러 사회적 변화 안에서도 많은 이들에게 꾸준히 큰 사랑을 받는 생명력 있는 대중예술임을 증명하는 지표들이다.

그럼에도 영화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는 평범한 이들이 쉽게 이해하기에는 다소 어려운 감이 있다. 불필요한 외국어나 그 뜻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외래어를 빈번하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미국 영화계에서 넘어온 표현을 그대로 사용하는 ‘박스오피스 1위’라는 표현은 본래 매출액 1위를 의미하는 것이지만, 한국에서는 관객 수를 우선해 집계하기에 본래의 뜻을 분명하게 담지 못한다. ‘아카데미에 노미네이트된…’처럼 영어동사를 우리말에 섞어 쓰는 불완전한 표현도 흔하다. 촬영 시작과 종료를 의미하는 ‘크랭크인’과 ‘크랭크업’은 손쉽게 우리 말로 순화할 수 있음에도 관습적으로 사용된다.

사람들이 자주 찾는 영화관의 경우 외래어를 넘어 외계어 수준처럼 느껴지는 용어를 내세우는 일도 허다하다. 영화가 단순히 관람을 넘어 ‘경험’으로 확장되면서 영상, 음향, 좌석 등에 특화된 기술을 도입한 특수상영관 비중이 늘어났고, 이 상영관들을 명명하기 위해 ScreenX, 4DX(CGV), Super X(롯데시네마), MX(메가박스)처럼 알파벳을 이용한 난해한 신조어가 동원됐기 때문이다.

‘아바타: 물의 길’ 상영 당시가 그러했듯 영화에 걸맞은 최적의 상영관을 골라 관람하는 게 일종의 문화처럼 자리잡은 지금, 관객이 이 복잡한 상영관의 이름들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보다 명확하게 인지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순화하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공공기관도 외래어 사용을 과하게 선호하는 건 마찬가지다. ‘팸투어’, ‘로케이션 인센티브’처럼 영화산업과 그 종사자를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정책을 외래어로 명명한 경우가 흔한데, 직관적이지 않은 표현이 도리어 지원정책 대상자들의 접근을 어렵게 만드는 측면이 있다.

프랑스에서 넘어온 단어 ‘씨네마떼끄’를 공간명으로 쓰는 경우도 적지 않다. 여러 차례 들어보기는 했다고 하더라도 막상 무슨 뜻인지는 정확하게 설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대표적인 어려운 외래어다. 쉽게 잊혀져서는 안되는 지난 영화를 기록하고 보존, 전시까지하는 의미있는 활동이 제대로 주목받지 못한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본지는 이에 20여 차례의 연재 기사 <‘영화’로운 우리말>을 통해 우리말로 순화하거나 대체해 보다 쉽고 매끄럽게 그 뜻을 전할 수 있는 영화용어를 발굴하려 한다. 매주 공유되는 사례를 통해 독자는 물론이고 영화업계 종사자와 언론까지도 적재적소에 순화된 우리말 영화용어를 사용할 수 있는 변화의 계기를 마련하기를 기대해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