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제4차 식품산업 진흥 기본계획'…푸드테크·그린바이오 육성해 부가가치↑
정부가 K-푸드의 경쟁력을 이어갈 수 있도록 2027년까지 식품산업 규모를 1100조 원으로 성장시킨다. 유망 품목을 육성해 농식품 수출은 150억 달러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8일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제4차(2023~2027년) 식품산업 진흥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식품산업 진흥 계획은 식품산업진흥법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하는 기본계획이다. 이번 계획에서 정부는 2021년 기준 656조 원인 식품산업 규모를 내년부터 연평균 9%씩 성장시켜 2027년 1100조 원 달성을 목표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먼저 푸드테크·그린바이오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식품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일 계획이다. 푸드테크 10대 핵심기술 분야 중심으로 지역별 '푸드테크 혁신클러스터'를 조성해 푸드테크를 활용한 중소식품업체의 경쟁력을 높이고, 기능성식품·고령친화식품 등 미래 유망 식품도 적극 육성한다
농식품 수출은 150억 달러까지 확대한다. 농식품 수출액은 2018년 69억2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88억2000만 달러로 증가했다. 수출 증가를 위해 라면·배 등 수출 유망품목을 'K-브랜드'로 육성하고, 현재 11개인 1억 달러 이상 수출 품목을 2027년 20개까지 확대한다. 또한식 인지도를 내수-관광-수출로 연결하기 위해 2027년까지 미식관광상품인 15개의 'K-미식벨트'를 조성하고, 해외 우수 한식당 지정도 확대해 식재료 수출 확대로 연결한다.
김치·전통주·장류 등 전통식품 산업도 활성화한다. 김치는 안정적 원료 공급 기반을 마련하고, 자동화 공정을 개발·보급해 등 품질 경쟁력을 높인다. 전통주는 명주를 육성해 수출상품으로 육성하고, 장류는 발효 기술 과학화를 통해 소스 산업으로 발전한다.
농업과 식품산업 간 지속가능한 상생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식품기업-농가 간 계약재배를 지원하는 '원료중계 플랫폼'을 만든다. 원료 생산단지 확대와 식품 소재·반가공 산업 활성화, 국산 원료 사용 우수기업에 대한 정책 지원 및 포상 확대 등으로 지속적인 협력체계도 구축한다.
이와 함께 사회가치경영(ESG) 등 변화된 경영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식품기업을 위한 'ESG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컨설팅 지원 등 식품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도 추진한다. 인력난 해소 방안으로 외국인력 고용 규제 완화와 함께 계약학과 운영 등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