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O “내년 상반기까지 생성형 AI 엔진 구축 예정”
카카오브레인 “내년까지 AI 기반 번역서비스 출시”
카카오T에 도입…개인 특성 고려한 ‘맞춤형 추천’
카카오모빌리티가 내년 상반기까지 모빌리티 서비스에 특화된 생성형 인공지능(AI) 엔진을 구축해 AI 모빌리티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플랫폼 서비스를 통합해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 구축에도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8일 카카오모빌리티는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넥스트 모빌리티: 네모(NEMO) 2023’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유승일 카카오모빌리티 최고기술책임자(CTO)는 AI 대전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카카오모빌리티의 기술과 서비스 비전을 소개했다.
유 CTO는 “AI 기술이 날로 진화하고 있지만 아직 모빌리티에서 중요한 거리, 시간, 경로 계산에 약점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카카오모빌리티는 이 영역에서 강점을 지닌 라우팅(경로배정), 운송관리시스템(TMS), 프라이싱, 배차 엔진 등의 기술을 지니고 있다. 여기에 다양한 AI 기술을 결합해 모빌리티 서비스에 특화된 생성형 AI 엔진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여기엔 모빌리티 산업 역시 생성형 AI를 기준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판단이 주효했다. 유 CTO는 “우리나라는 미국과 중국에 이어 자국 플랫폼이 산업을 주도하는 등 이른바 ‘플랫폼 주권’을 확보한 몇 안 되는 나라”라면서 “최근 국내 산업계에도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며 생성형 AI 기술을 중심으로 재편될 미래를 준비해야 하는 전환기를 맞이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카카오모빌리티는 2015년 ‘카카오 T’ 출시 이후 이동 서비스의 디지털전환(DX)을 통해 정보 비대칭으로 분절돼 있던 모빌리티 시장을 혁신 산업으로 진화시켜 왔다”며 “그동안 이뤄 온 자율주행, 빅데이터 등 AI 기반 기술 고도화와, AI 대전환시대를 맞아 ‘AI 기반 플랫폼 생태계’를 조성해 미래 시대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의 기술 목표는 ‘우리의 세상을 이해하는 AI’다. 경로배정, 운송관리시스템(TMS) 등 모빌리티 엔진부터 자율주행, 로봇, 디지털트윈에 이르기까지 이미 보유하고 있는 모빌리티 AI 기술들을 전 플랫폼과 결합하겠다는 목표다.
이를 통해 2024년 상반기까지 모빌리티에 특화된 ‘생성형 AI 엔진’을 구축한다. 신규 엔진을 활용해 현재 운영 중인 AI 기반의 각 서비스들을 고도화하고, 글로벌 모빌리티와 물류ㆍ배송 AI 플러그인도 구현할 계획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국내ㆍ외 여객, 물류, 서비스의 이동까지 아우르는 모빌리티 AI 기술 생태계를 구축해 국내 모빌리티 산업의 세계화를 이끌 방침이다.
카카오 모빌리티의 ‘카카오 T’에는 카카오브레인의 AI 기반 번역 서비스도 도입될 예정이다. 김일두 카카오브레인 대표는 이날 ‘넥스트 모빌리티 : NEMO 2023’에서 “카카오의 AI 기반 차세대 언어모델은 전문성과 개인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며 내년에 해당 서비스를 선보이겠다고 말했다.
모빌리티 서비스에 카카오브레인의 언어모델이 결합되면 맞춤형 추천 등이 가능해진다. 회사가 선보일 ‘퍼스널 컨시어지’는 개인화와 전문성을 기반으로 주어진 일정과 조건에 따라 맞춤형 추천 여행 경로를 생성해주는 서비스다. 여행지의 날씨와 유의사항, 동행자의 특성 등에 맞춰 상세한 여행 정보를 제공한다.
이동 시나리오 제공도 가능해진다. 이용자들이 카카오톡 단체방에서 대화를 나누면 맥락에 맞는 모임 장소를 추천하고, 식당 예약에서 식당까지 가는 추천 이동경로 확인, 택시 호출까지 완료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