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성장 시대’ 오나…“내년 경제성장률, 0%대일 수도 있죠” [한국 경제전망]

입력 2023-10-10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GDP 증가율 전망 1%대 미만 가능성” 응답 17% 달해
“고금리 여파 비소비지출 증가로 가처분소득 감소 우려”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다시 제로(0) 성장에 빠지지 않을까?

제로(0%대) 성장에 대한 우려가 조금씩 고개를 들고 있다. 경기침체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경제성장률 역시 우상향보다는 우하향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한 것이다.

본지가 창간기획을 통해 국내 주요 기업의 최고재무책임자(CFO), 재무담당임원 65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내년 우리나라 GDP 성장률 전망’ 문항에 16.9%가 ‘1%대 미만’을 택했다. 이는 ‘2%대 초중반’(15.4%) 응답률보다 높은 수치다.

응답률이 가장 높았던 것은 ‘1%대’였다. 항목별로 보면 ‘1%대 초중반’이 38.5%, ‘1%대 중후반’이 29.2%로 각각 집계됐다. 두 항목의 답변을 합하면 67.7%에 이른다. 응답자 절반 이상이 ‘1%대’를 택했지만, ‘제로 성장’을 전망하는 시각도 상당히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에서 집계한 경제성장률 수치가 0%대 미만이었던 경우는 △1956년 0.6% △1980년 -1.6% △1998년 -5.1% △2009년 0.8% △2020년 -0.7% 등 5차례였다.

시장에서는 올해 경제성장률도 1%를 밑돌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은 올해 4월 보고서에서 “대내외 수요 둔화 압력 우위 속에 한국경제는 전기대비 평균 0%대 초반 성장세가 이어지며 연간 성장률은 1%에 못 미칠 가능성이 우세하다”고 진단했다.

김찬희·하건형·임환열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1분기 내수 중심의 한국경제 회복은 일시적으로 그칠 가능성이 높다”며 “정부 주도의 일자리 정책은 고용 둔화를 늦추는 정도에 그치겠으며 고금리 여파로 비소비지출 증가에 따른 가처분소득 감소가 우려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가계 디레버리징 구간에 위치해 자산가격 상승에 따른 심리 개선 역시 지속되기 어렵다”고 내다봤다.

연구팀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내년 경제성장률을 1%대 중후반으로 전망했다. 연구팀은 “내년에는 순수출 성장기여도 개선에도 소비와 건설투자 중심의 내수 둔화로 성장세 확대는 제한될 가능성이 높다”며 “2024년 경제성장률은 1.7%를 전망한다”고 2년 연속 2% 하회 성장을 우려했다.

내년 평균 원·달러 환율을 묻는 문항에는 41.5%가 ‘1250~1300원 미만’을 택했다. 이어 ‘1300~1350원 미만’을 택한 응답자가 36.9%로 두 번째로 높았다. ‘1200원대 미만’을 택한 응답률은 3.1%로 집계됐다.

오창섭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향후 달러화는 경제여건 측면에서 약세 압력이 우세함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약세 기조가 진행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오 연구원은 “우선 글로벌 경기사이클 반등에 따른 위험자산 선호 현상이 안전자산인 달러화의 약세요인으로 부각하고, 균형가치 측면에서도 현재 달러화는 적정수준 대비 15%가량 고평가 상황인 것으로 추정한다”고 분석했다.

기준금리 조정 시기에 대한 설문에는 41.5%가 ‘동결 기조 유지’를 택했다. ‘내년 하반기부터 인하’ 항목의 응답률이 21.5%로 두 번째로 높았다. ‘내년 상반기부터 인하’를 택한 응답률도 18.5%에 이르렀다. 당장 올해 4분기부터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 응답자도 있었다. 올해 한국은행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는 10·11월 단 두차례 남았다.

한은의 기준금리 추가 조정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우지연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시장의 상승 동력으로 작용했던 연준 금리 인하의 예상 시점은 내년 2분기 이후로 추정된다”며 “그러나 연준의 정책 전환은 그만큼 경기 둔화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졌다는 것으로 인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통화당국의 금리인하 배경은 경기 둔화나 금융위기 시 경제를 지원하는 조치였다는 것이다.

우 연구원은 “연준의 유동성 공급을 통한 경기 지원은 소비, 투자 등 실물경제와 자산시장 활성화에 기여한다”며 “그러나 정책 효과가 가시화되기 전까지는 시차가 존재하며, 오히려 높아지는 경기 불안이 투자 심리 위축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공존한다”고 짚었다.

김찬희·하건형·임환열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국채 2년 금리가 한국 기준금리를 하회하는 시기부터 한은의 금리 인하가 예상된다”며 “종합적으로 볼 때 한은의 금리 인하 시점은 내년 2~3분기 사이로 미국에 비해 선제적 인하가 예상된다”고 내다봤다. 연구팀은 “한은이 선제적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경우 자본 유출로 인한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부담”이라며 “외국인 증권투자는 주식 비중이 높은 만큼 제조업 경기 회복이 동반될 경우 자본 유출은 제한된다”고 짚었다. 이어 “그럼에도 미국의 긴축 완화 기대가 형성되기 전 한국이 금리를 인하해 본 경험이 없어 급격한 성장 충격이 나타나지 않는 이상 섣부른 인하는 제한된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