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구로병원 연구팀 “뇌경색 후 인지기능저하 막는 데 활용 근거 제공”
알츠하이머병을 유발는 것으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이 작은 크기의 뇌경색 후 환자의 인지기능저하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구로병원 신경과 강성훈·김치경 교수, 핵의학과 어재선 교수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바이오마커인 아밀로이드 축적이 작은 크기 뇌경색 후 인지기능저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23일 밝혔다.
뇌경색은 뇌의 혈관에 피가 제대로 통하지 않아 뇌조직의 일부가 괴사하는 질환으로, 뇌혈관의 문제가 발생해 생기는 뇌졸중의 한 종류다. 뇌경색이 발생할 경우 빠른 혈관 재개통이 이뤄지지 않으면 뇌세포 손실이 지속적으로 발생, 결국 영구적 후유 장애를 겪게 될 만큼 일상생활의 큰 불편함을 줄 수 있는 질환이다.
뇌경색 발병 후 환자들에서 인지기능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보통은 뇌경색 당시 병변이 크거나 인지기능과 관련된 뇌 영역이 손상된 경우 뇌경색 후 인지기능저하가 잘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작은 크기 뇌경색의 경우 위에 언급된 두 가지 위험인자가 없음에도 뇌경색 후 인지기능저하가 발생하기도 하며, 아직 이에 대한 예측인자가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연구팀은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이 작은 크기 뇌경색 후 인지기능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입원한 37명의 50세 이상 급성 작은 크기 뇌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뇌경색 발생일 이후로 3개월이 지난 시점에 신경심리검사 및 아밀로이드 PET 검사를 시행해 뇌경색 후 인지기능저하 여부와 아밀로이드 축적여부를 확인했다. 또 1년 뒤 간이인지기능검사 및 임상치매척도를 시행해 장기간 인지기능변화 추이 확인했다.
그 결과 37명의 뇌경색 대상자 중 11명(29.7%)에서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이 확인됐고, 아밀로이드 축적이 확인된 11명 중 7명(63.6%)이 뇌경색 후 인지기능저하로 진단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이 뇌경색 후 인지기능저하 발생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며 “이에 더해 장기적으로도 인지기능 관련 나쁜 예후와 연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강성훈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병의 바이오마커인 베타아밀로이드 축적이 작은 크기 뇌경색 환자의 인지기능저하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일부 작은 크기 뇌경색 환자에서 베타아밀로이드 항체 약물이 뇌경색 후 인지기능저하를 막는 데 활용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해 의미 있는 연구라고 생각한다”라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수행됐고, 연구결과는 알츠하이머병 국제학술지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