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건물 냉·난방에 사용되는 지열 에너지 보급량을 2030년까지 약 4배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재생 에너지원 가운데 도심 활용도가 높은 지열을 확대해 탄소중립 달성을 선도하겠다는 것이다.
서울시는 21일 ‘지열 보급 활성화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건물 냉·난방에 공급되는 주요 에너지원의 지열 전환이 골자로, 2030년까지 1GW(1000MW)를 보급한다는 목표다. 현재 지열 에너지 보급량은 6월 기준 278MW(26.4%)로 태양광 392MW(37.3%)에 못 미친다.
땅속의 일정한 온도(평균 15℃)를 활용하는 지열 냉·난방은 태양광·풍력과 달리 날씨 영향을 받지 않고 사계절 내내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단위면적당 열에너지 활용도 높아 도심에 최적화한 신재생에너지로 꼽힌다. 미국환경보호청(EPA)은 ‘현존하는 냉·난방 기술 중 가장 환경친화적이고 효율적인 기술’로 인정했다.
건물 냉ㆍ난방에 사용되는 화석연료가 도심 온실가스 배출 주범이라는 점에서 탄소중립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지열 1GW를 보급할 경우 온실가스 51만8000톤을 감축할 수 있다며 전기차 32만3839대를 보급하는 것과 같은 효과라고 설명했다.
종합계획에 따라 시는 우선 공공부문 선도에 나서 가락시장·용산국제업무지구 등 5대 권역 사업에 지열 랜드마크를 조성한다. 가락시장은 2030년까지 국내 최대규모(23MW)의 지열 설비를 도입해 건물 냉·난방 90% 이상을 지열로 공급한다.
서울형 지열 인센티브 제도를 신설, 민간부문 참여도 유도한다. 정부와 긴밀히 협력해 신재생 에너지원 보급에 필요한 법을 개정하고, 지열 분야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지원 등 관련 산업 육성에도 힘을 실을 예정이다.
이인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지열은 사계절 안정적으로 운영이 가능한 친환경에너지로 화석연료 대비 에너지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지열을 중심으로 서울시의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끌어올려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