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스마트해양학회 회장을 맡은 임현택<사진> 국민대 특임교수는 한국해운항만학술단체협의회 제8회 국제공동학술대획에서 인천 해저상도시(Incheon UnderUpwater City) 건설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고 1일 밝혔다.
이날 참석자들은 인천해저상도시 건설로 우리나라가 능동적으로 기후변화에 대비하고 인천이 베네치아를 능가하는 세계적인 해양관광지가 될 수 있으며, 현재의 기술 수준으로도 인천 해저상도시 건설이 가능하다는 점에 공감했다.
임 교수는 2021년 인천의 해양문화를 분석한 후 미래 아젠다로 ‘인천해저도시로 가자’라는 책을 출간하면서 학계와 지역사회의 관심을 받고 있다.
인천 해저상도시는 인천 내항 바다 60만 평 규모에 AI, IoT, VR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38개의 스마트 빌딩과 섬을 해저 3~4층, 해상 9~11층 규모로 짓는 사업이다. 이들 38개의 건물과 섬은 해저ㆍ해상통로로 연결돼 행정, 주거, 쇼핑, 생산, 교육, 스포츠 등 경제문화 활동이 바닷속과 해상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인구 5만 명이 사는 도시 개념이다.
이번 학술발표에서 임 교수는 ‘인천 해저상도시 건설의 의미와 경제적 효과’를 주로 설명했다. 임 교수는 단지 용어를 인천해저도시에서 인천해저상도시로 바꾼 이유에 대해 “2년 반 동안 인천해저도시라는 명칭을 사용했는데 국민이 바닷속에서 사는 거로 착각해 먼 미래의 일로 받아들였다. 이 때문에 조속한 프로젝트 추진력 확보가 어려웠다”고 말했다.
인천 해저상도시는 하나의 건물이 해수면 아래인 해저에 3층 정도가 들어서고, 해수면 위로 9-11층 높이의 건물을 이용한다. 이에 해저가 아닌 해저와 해상을 동시에 이용하는 건물이다. 그는 인천 내항은 갑문으로 막혀있어 파도와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전하고 수심도 약 14m 정도여서 현재 수중건설 기술로도 충분히 건설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천해저상도시가 만들어지면 연 3224만 명의 관광객 유치가 가능하고 이를 통한 경제적 효과는 18조 원, 약 8만1000명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추정됐다. 건설비용은 약 7조8000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