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7050명 데이터 대규모 코호트 분석
뇌졸중 발병 연령대가 지속해서 낮아지고 있지만, 예후는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희준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 연구팀(제1저자 인하대병원 김종욱 교수)은 다기관 뇌졸중 코호트 연구를 통해 2008년부터 2019년까지 12년 동안 전국의 17개 병원에서 모집한 18~50세 사이의 뇌졸중 환자 7050명을 분석한 결과를 19일 밝혔다.
‘젊은 뇌졸중’이라고 불리는 조기 발생 뇌졸중은 18세에서 50세 사이에 나타나며, 전체 뇌졸중 환자의 10~15%를 차지한다. 젊은 환자들은 뇌졸중에 따른 후유장애로 기대여명이 짧은 고령에 비해 질병 부담도 1.6배 이상 높다.
연구팀은 젊은 뇌졸중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시행, 평균 발병 연령이 지난 12년 동안 43.6세에서 42.9세로 낮아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여성 뇌졸중 환자에서 18~30세 비중이 6.5%(2008~2010년)에서 10.2%(2018~2019년)로 대폭 증가하며 남성이 동기간 4.1%에서 5.5%로 증가한 것과 대비됐다.
치료 성적은 큰 변화가 없었다. △혈전 용해제 투여율 △혈전제거술 시행률 △스타틴 투여율 △복합항혈전제 사용률 등 최신 진료 지침에서 요구하는 치료 지표는 개선됐지만, 사망률과 기능적 회복률 등의 치료 결과 지표는 변동이 없었다. 1년 내 재발률은 2011~2013년 4.1% 수준에서 2017~2019년 5.5%로 증가했다.
연구팀은 혈관 재개통치료 지표 개선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환자는 전체의 20%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증상 발견 후 병원 도착까지 시간은 여전히 8시간으로, 2008년 8.4시간과 비교해 큰 변화가 없다는 점도 문제로 꼽았다.
뇌졸중을 유발하는 고혈압, 당뇨병, 부정맥 등 원인질환에 대한 인지율과 치료율이 그대로 거나 악화한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젊은 여성에서 흡연율이 증가한 것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배 교수는 “젊은 연령에서도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며 “뇌졸중 위험을 높이는 원인 질환을 앓고 있는지 미리 파악하고 관리해야 하며, 빠르게 치료 가능한 병원을 찾을 수 있도록 응급의료 시스템을 정비하고 국민들도 개별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심인성 색전증 등 일부 뇌졸중에서는 항응고제를 사용해야 하는데, 관련 연구와 치료 지침 마련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는 국립보건연구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연구 결과는 미국뇌졸중학회지(Stroke) 최근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