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신용등급 수난시대…태영·GS·동부 줄줄이 강등에 PF리스크↑

입력 2023-12-24 0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의 아파트 단지 모습. 조현호 기자 hyunho@ (이투데이DB)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려가 큰 건설사들의 신용등급 강등이 현실화되고 있다. 한 주간 태영건설, 지에스(GS) 건설의 무보증 사채 신용등급과 동부건설의 기업어음(CP) 등급이 잇달아 하향되면서다. 건설사 내에서도 시공능력 상위 30위권 내의 대형 건설사 위주로 신용등급이 떨어지면서 중소 건설사까지 PF리스크가 확산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진다.

24일 신용평가업계에 따르면 한국기업평가는 22일 지에스건설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기존 A+(부정적 검토)에서 A(안정적)로, 기업어음(CP) 등급을 기존 A2+(부정적 검토)에서 A2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해 자이씨앤에이 인수 후 자금 부담이 이어지고, 4월 인천 검단아파트 지하주차장 사고로 국토교통부 영업정지 처분 영향에 대한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한기평에 따르면 지에스건설의 3분기 말 연결 순차입금은 2조6059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2844억 원가량 증가했고, 같은 기간 부채비율은 33.9%P 상승한 250.3%를 기록했다. 검단아파트 붕괴 사고와 관련한 전면 재시공 비용 5500억 원이 일시 반영되면서 대규모 당기순손실로 자본이 크게 감소한 것이 재무구조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동부건설의 신용등급도 낮춰 잡았다. 1969년 설립된 동부건설은 오랜 시공 경험과 아파트 '동부 센트레빌'의 브랜드인지도를 기반으로 빠르게 매출기반을 확보한 도급순위 22위 건설사다. 특히 재무적투자자(FI)인 한국토지신탁과의 사업 시너지를 확대해 2017년 부산감만1구역, 2019년 당진 수청1지구 등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를 성공하면서 경쟁력을 회복했다.

그러나 주택 부문을 중심으로 고금리에 따라 원자재, 인건비 등이 상승하자 준공원가도 불어나면서 재무부담이 확대했다. 특히 도급액 확대가 어려운 민간 주택을 중심으로 원가율 상승이 두드러졌다. 동부건설의 EBITDA/매출액은 2021년 5.4%, 2022년 2.8%로 급감하기 시작해 지난 3분기 말에는 0.8%에 그쳤다.

한기평은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적 유동성 공급이 종료된 이후 주택 매수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고, 인건비 등 원가부담도 높은 수준으로 단기간 내 수익성 개선을 통한 현금창출력 확대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며 "다수의 주택사업 매출채권, 기 진행 해외사업 등으로 운전자본부담이 확대되는 가운데 잔여 토지대금의 납부도 2024년까지 예정돼 당분간 과중한 재무부담을 지속할 전망"이라고 했다.

지난 21일에는 한국신용평가가 태영건설의 선순위 무보증사채와 CP 등급을 동시에 내려 잡았다. 태영건설의 회사채(SB) 신용등급은 기존 'A-(안정적)'에서 'A-(하향 검토)'로, 기업어음 신용등급은 'A2(0)'에서 'A2(하향검토)'로 하향 조정됐다. 현재 태영건설의 'A-' 등급은 유사시 태영그룹의 지원 가능성을 반영해 한 등급 상향된 수준이다. 태영그룹의 재무안정성이 하락해 태영건설의 추가적인 재무지원이 어려워질 경우 태영건설의 신용등급은 투기등급인 BBB등급대로 급락하게 된다.

1973년 설립된 태영건설은 올해 토건 기준 시공능력평가액 순위 16위의 종합건설업체다. 지난 3분기 말 기준 최대 주주인 티와이홀딩스와 특수관계자가 보통주 기준 49.8%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태영건설에 대해 과중한 PF(프로젝트파이낸싱) 우발채무가 지속되고, 자금조달 여건은 떨어지는 반면, PF유동화증권 차환 부담이 확대한다고 평가했다.

무엇보다 올해 들어서도 태영건설의 PF보증액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사업 진행 지연과 금융비용이 누적된 영향이다. 태영건설의 도급사업 PF보증액은 지난달 말 연결 기준 2조9000억 원이다. 지난해 말 2조2000억 원보다 31.8% 높아지면서 3조 원 턱밑을 찍었다. 이미 별도 기준 도급사업 PF보증액은 3조 원을 훌쩍 넘긴 3조5000억 원이다.

태영건설은 PF차입금과 유동화증권 차환 자금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들어서만 1조 원 규모의 유동성을 조달했다. 올 초 1월 티와이홀딩스로부터 4000억 원 자금 차입을 시작으로 1분기 사모사채 1600억 원 발행, 한국투자증권과 2800억 원 펀드 조성, 9월 본사 사옥 담보 1900억 원 차입 등이 대표적이다. 하반기 들어서는 태영인더스트리 등 계열 차원의 지원 규모도 확대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