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가 제품ㆍ탄소 중립 기반 먹거리 발굴
“올해 관건은 높은 원료가의 전가 여부…
그린 철강 등 이익 발생까지 성장통 견뎌야”
새해 철강업계 업황이 어느 때보다 어둡다. 철강사들은 글로벌 경기 부진 극복을 위해 미래 성장동력 확대와 경쟁력 강화에 주력할 전망이다.
철강업계는 지난해 최악의 한 해를 보냈다. 경기 악화에 화재 피해, 노조 파업 등의 악재를 겪으며 경영 환경이 극도로 악화했다. 여기에 엔저 현상의 장기화로 가격 경쟁력을 갖게 된 일본 철강사들은 국내 시장에 저렴한 값으로 철강재를 판매하며 찬물을 끼얹었다.
7일 본지 취재에 따르면 포스코와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철강사들은 불황 장기화에 대비해 고부가가치 제품 기술 개발과 탄소 중립과 연계한 성장 기반을 구축하며 미래 먹거리 발굴에 공을 들이고 있다.
포스코는 기존 주력사업인 철강분야에 저탄소 제품 공급 체제를 본격 구축한다. 미래형 포트폴리오 전환 및 글로벌 성장 시장 선점으로 미래소재 대표기업으로 도약할 방침이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최근 신년사를 통해 “수소환원제철(HyREX)은 단일 기업의 노력만으로 한계가 있으므로 미래 친환경 제철의 글로벌 표준을 선도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며 “고부가 제품 기술 개발과 그린 스틸의 판매를 확대하고 해외 시장에 안정적 생산 거점을 갖춰 글로벌 성장을 이루자”고 밝혔다.
포스코 기술연구원은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100% 수소만 사용해 환원철(DRI)을 생산하는 하이렉스(HyREX) 기반 상용 기술을 개발 중이다. 6월 시험 설비를 착공한 뒤 2030년까지 기술 실증을 완료한 후 대규모 상용 플랜트를 운영할 방침이다.
현대제철은 강관사업부문을 자회사로 독립해 전문성을 강화하는 ‘선택과 집중’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수익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제품을 확대하고 원가 절감 등을 통해 경쟁력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고로, 전기로 양대 사업본부를 각각 판재, 봉형강 사업본부로 변경해 핵심 제품군을 전문화하고, 중복 업무를 통합하는 등 내실을 강화한다. 지난해 10월 분할 설립한 강관 사업회사 현대스틸파이프에 대한 구체적 지원 방안도 마련한다.
차세대 강판을 비롯해 고강도ㆍ저온인성을 가진 극지 해양용 강재, LNG 탱크ㆍ선박용 극저온 철근ㆍ후판 등 미래 글로벌 시장 확대에 대응한 고성능 제품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동국제강도 업황부진 장기화에 대비해 친환경 프리미엄 제품으로 대응한다. 동국제강은 그룹별 특성에 맞는 친환경 공정 및 제품 개발, 인증 등의 활동을 활발히 이어가고 있다.
열연사업회사 동국제강은 중장기 비전 ‘스틸 포 그린’을 수립하고 스크랩 조업 연구, 카본 대체 기술 개발, 하이퍼 전기로, 신재생 전력 공급망 등을 구축해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할 계획이다.
냉연사업회사 동국씨엠은 2030년 컬러강판 ‘노 코팅 노 베이킹’ 공정을 구축해 기존 대비 탄소배출량 90% 절감을 목표로 연구 중이다. 최근 폐플라스틱 재활용 컬러강판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이를 통해 향후 유럽연합(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수출 규제에 대응한다.
세아베스틸은 미국, 일본, 독일, 인도, 중국 등 글로벌 거점을 활용해 해외 시장 개척에 공을 들일 전망이다. 다양한 특수강 제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높은 강도ㆍ내구성ㆍ내열성 등의 수준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는 시장 수요에 대응한다.
기존 주력사업 외에 풍력 발전, 방위 산업, 수소 산업 등 새로운 시장을 찾는 데 힘을 쏟고 있다.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제조법인 세아윈드는 지난달 14일(현지시간) 스웨덴 국영 전력회사 바텐폴(Vattenfall)이 발주한 영국 ‘노퍽 뱅가드(Norfolk Vanguard) 프로젝트’ 모노파일 하부구조물 공급 계약을 1조4900억 원에 체결했다.
안회수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실적의 주요 관건은 높은 원료가의 전가 성공 여부가 될 것”이라며 “그린 철강을 통한 제품 차별화,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이익 발생까지 성장통을 견뎌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