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성장률 올해 2.4%로 0.1%p 하향
유엔(UN)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2.4%로 하향 조정했다. 한국의 경우에는 올해 민간투자에 힘입어 1%대에서 탈피한 2.4%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유엔 경제사회국(DESA)은 4일(현지시간) ‘2024 세계 경제 상황과 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작년 5월 보고서 대비 0.1%포인트(p) 낮춘 2.4%로 하향 조정했다.
보고서는 작년 세계 경제는 급격한 통화 긴축에도 강력한 노동 시장이 소비자 지출을 뒷받침하며 놀라운 회복력을 나타내며 2.7% 성장했다고 추정했다.
그러면서 작년 경기침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는 피했지만, 저성장 기조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커졌다면서 올해는 이보다 둔화한 2.4% 성장할 것으로 관측했다. 내년에는 2.7%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팬데믹 이전 추세 성장률인 3.0%에는 못 미친다.
권역별로 보면 한국은 성장률이 2022년 2.6%에서 2023년 1.4%로 둔화한 것으로 조사됐다. 고물가 지속으로 실질임금이 하락하면서 민간소비가 둔화한 것이 요인으로 꼽혔다. 하지만 작년에 민간투자가 회복된 영향으로 올해는 성장률이 2.4%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행이 작년 11월 내놓은 2024년 성장률 전망치(2.1%)보다 0.3%p 높은 수준이다.
세계 최대 경제 대국인 미국의 작년 성장률은 공격적인 통화 긴축 정책에도 견조한 소비로 예상보다 양호한 2.5%로 집계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올해 성장률은 1.4%로 낮춰 잡았다.
보고서는 “미국 경제가 경착륙할 가능성은 현저히 감소했지만, 노동시장과 주택시장, 금융시장 여건 악화로 경제가 현저한 하강 위험에 직면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유럽연합(1.2%), 영국(0.4%), 신흥국(4.0%), 일본(1.2%)과 중국(4.7%) 등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내놓았다.
글로벌 물가에 대해서는 최근 2년간 급등했으나 작년에는 5.7%로 상승률이 축소된 것으로 분석했다. 2022년 세계 물가는 8.1%로 약 3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 기록한 바 있다. 다만 물가는 여전히 2010~2019년 평균을 웃도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물가는 국제 원자재 가격 및 수요 약화, 통화정책 긴축 기조, 선진국 경제 뚜렷한 감속 등으로 3.9%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이렇게 글로벌 인플레이션은 낮아지고 있지만, 식량 가격은 그렇지 않아 빈곤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 선진국의 고용시장이 여전히 강력해 미국, 유럽연합과 같은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올해 초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작다고 점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