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규모 따라 적립금 달라질 듯
“일시적 당기순이익 감소 가능성”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태영건설의 주채권은행인 KDB산업은행은 이날 제1차 채권자협의회를 열고 워크아웃 개시 결의를 논의했다. 산은은 채권단과 함께 채권행사 유예 여부 및 PF 사업장 관리 기준 등도 점검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태영건설이 국내 은행권으로부터 빌린 장·단기 차입금은 총 7243억 원이다. 장기차입금 4693억 원, 단기차입금 2250억 원으로 집계됐다. 장기차입금에는 일반·시설자금 대출과 함께 부동산 PF 대출이 포함된다.
은행별로는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이 PF 대출 1292억 원과 단기차입금 710억 원 등 2002억 원으로 가장 많은 채권을 보유했다. 이어 국민은행은 PF 대출 1500억 원과 단기차입금 100억 원 등 1600억원, 기업은행은 PF 대출 997억 원, 우리은행은 단기차입금 720억 원을 각각 빌려줬다.
신한은행은 PF 대출 436억 원과 단기차입금 200억 원 등 636억 원을, 하나은행은 PF 대출 169억 원과 단기차입금 450억 원 등 619억 원을 각각 태영건설에 대출해줬다.
은행권 대출은 대부분 지급보증과 담보대출로, 워크아웃으로 인한 만기유예를 받아도 대규모 손실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신용평가는 “은행의 경우 직접대출 규모와 우발채무를 포함한 익스포져의 절대규모는 전 업권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지만, 익스포져의 내용을 감안할 때 재무적 영향은 크지 않다”면서도 “관련 익스포져의 절대규모가 크기 때문에 태영건설의 워크아웃과 관련한 채권단 협의 결과에 따라 최종 영향이 서로 다를 수 있어 추가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다만, 원금을 상환할 때까지 손실 우려가 있어 이에 대한 대손충당금을 더 쌓아야 한다. 워크아웃 신청 직전까지 A-등급을 유지했던 태영건설의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은 이후 채무불이행 발생 가능성이 있는 CCC급으로 10단계 강등됐다. 이에 금융사들은 대손충당금 적립액을 추산하고 있다. 충당금 적립 규모는 태영건설이 다른 회사나 PF 사업장에 얼마나 보증을 해줬는지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태영건설 워크아웃으로 쌓아야 할 충당금은 늘었지만, 나가는 돈이 아니기 때문에 무리는 없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태영건설로 인해 부동산 PF 부실이 확산될 경우 충당금이 더 늘어날 수 있어 당기순이익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은행권은 지난해 역대급 충당금을 쌓았다. 3분기 말 기준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의 대손충당금 적립 잔액은 7조4527억 원으로 전년 말보다 1조 213억 원 늘었다. 이는 잔액 기준으로 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