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너머] 우울한 청년들의 희망 찾기 프로젝트

입력 2024-01-12 06: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밝았던 성격의 지인은 취업을 장기간 준비하면서 자신감도 잃어가고 우울감을 느끼는 듯했다. 시간이 날 때마다 만나 맛있는 밥을 먹고, 함께 놀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도 별다른 해결책을 주지 못한 것 같아 미안할 따름이었다. 그랬던 그를 오랜만에 만나니 무엇이든 해낼 수 있다는 의지가 다시 살아난 모습이었다. 서울시가 2022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에 참여한 후로 생긴 일이었다.

우리나라 청년들이 학업, 취업, 경제적 사정 등으로 인해 살기 힘들어졌다는 현상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하지만 공식적인 수치는 이 같은 현상이 더욱 심각함을 드러낸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지난해 인구 10만 명당 25.2명으로 OECD 평균인 10.6명보다 2.3배 이상 늘어났다. 특히 지난해 10대·20대·30대의 사망 원인 1위는 ‘자살’로 나타났다.

우울증 등 정신 질환이나 취업·직장 문제, 경제적 어려움 등 다양한 분석 요인들에는 청년들이 느끼는 삶의 고단함이 묻어져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해 ‘정신건강정책 혁신방안’을 발표하며 국내 자살률을 10년 이내에 절반으로 줄이겠다고 했다. 특히 청년 세대에는 정신건강검진 주기를 기존 10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보다 적극적으로 재작년부터 불안, 우울, 무기력감을 경험하고 있는 만 19~39세 청년을 대상으로 ‘서울 청년 마음건강 지원사업’을 시행했다. 청년들의 입소문을 타자 시는 지난해 지원 규모를 1만 명으로 확대하고,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도 높였다. 실제로 지난해 심리상담을 받은 청년들은 총 1만31명으로, 2022년 6540명 대비 1.5배 늘어났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청년들의 마음건강을 보듬었더니 청년들의 자아존중감은 61점에서 68.9점, 회복 탄력성은 56.4점에서 63.2점, 삶의 만족도는 50.6점에서 62.3점으로 증가했다는 것이다. 우울감 55.4→45.3점, 불안감 55.1→44.6점, 스트레스 65.5→58.2점, 외로움 63.0→55.4점 등으로 나타나며 부정적인 정서 완화에도 효과가 있었다.

우울감 속에서 희망을 찾은 청년들은 긍정적인 메시지를 쏟아냈다. 특히 청년들의 92.6%가 다른 사람에게 추천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지인 또한 우울감을 느끼는 친구들에게 이같이 전했다. “평소 우울하다고 느꼈었는데 다시 열심히 살려는 의지를 얻게 됐어요. 우울한 청년의 희망 찾기 프로젝트에 함께 해보실래요?”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