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은 교원 98.4%가 여성…저출산→일자리 감소→가임여성 유출 악순환
충격은 지방 소도시에 상대적으로 크다. 서울 등 대도시에선 출생아 감소분의 일부가 전입·생활인구로 대체된다. 학군지를 중심으로 상권이 발달해 인근 자치단체 수요를 흡수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출생아가 줄었어도 절대적인 유소년 인구 규모가 크다. 서울 송파구와 인천 서구, 경기 수원시, 성남시, 용인시, 고양시, 부천시, 평택시, 남양주시, 화성시는 10대 이하 인구가 10만 명을 넘는다. 일부 지역은 20만 명대다. 이 때문에 출생아 감소에 따른 일자리 감소는 점진적이다.
반면 10대 이하 인구가 보육·교육시설 등 유지를 위한 한계선에 근접한 지방 소도시들은 연간 수십 명대 출생아 감소도 단기적으로 시설 줄폐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인구밀도가 낮고 전입·생활인구도 적어 부족한 수요를 인근 지역에서 조달하기도 어렵다.
지방 소도시에서 저출산·저출생 장기화에 따른 일자리 감소는 이미 진행 중이다.
28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19세 이하 인구가 3000명 미만인 지역은 부산 중구, 인천 옹진군, 강원 고성군·양양군, 충북 괴산군·단양군, 충남 청양군, 전북 진안군·무주군·장수군·임실군, 전남 곡성군·구례군·함평군, 경북 청송군·영양군·고령군·봉화군·울릉군, 경남 의령군·산청군 등 모두 21곳이다. 가장 적은 지역은 울릉군(792명)이다.
이들 지역은 공통으로 출생아가 적다. 통계청 인구동향에 따르면, 19세 이하 3000명 미만 지역 중 2022년 출생아가 100명 이상인 지역은 부산 중구와 고성군, 임실군 등 3곳이다. 부산 중구는 부산역·부산항에 인접한 구도심으로 인구가 적지만 인구밀도가 높아 다른 지역과 비교가 어렵다. 나머지 지역을 보면, 울릉군과 영양군은 출생아가 각각 20명, 31명에 그쳤다.
19세 이하 3000명 미만 지역에서 보육·교육시설 등은 소멸 위기다.
어린이집은 2022년 기준 진안군(6개), 무주군(6개), 임실군(9개), 곡성군(9개), 구례군(7개), 청송군(9개), 영양군(5개), 울릉군(1개), 의령군(6개), 산청군(9개) 등 10개 지역에서 한 자릿수다.
민간 시설을 보면, 지난해 10월 기준 옹진군과 울릉군에는 교습학원이 한 곳도 없다. 단양군과 괴산군, 청양군, 진안군, 임실군, 함평군, 청송군, 영양군도 교습학원이 한 자릿수다. 음악·미술학원 등 예술학원은 진안군과 영양군, 울릉군에 0개다. 소아과·내과가 없는 지역은 옹진군과 단양군, 진안군, 울릉군 등 4곳이다. 서점과 독서실은 19세 인구 3000명 이하 대부분 지역에 없었다. 전국적으로는 시·군·구당 평균 255.9개 교습학원, 47.6개 소아과·내과가 있다.
문제는 저출산으로 감소하는 일자리의 상당수가 ‘여성 일자리’란 점이다. 2022년 기준 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의 96.6%, 유치원 교원의 98.4%가 여성이다. 교습학원이 포함된 교육 서비스업은 66.3%, 소아과·내과가 포함된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은 81.9%가 여성 종사자다.
출생아가 줄면 여성 비중이 큰 유아 보육·교육시설과 교육 서비스업,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 일자리가 줄고, 이는 추가적인 가임여성 유출로 이어진다. 이미 지방 군지역은 30년간 지속한 저출산 여파로 일자리가 줄어 가임여성이 가파르게 유출되고 있다. 19세 미만 3000명 이하 지역 중 청송군은 지난해 주민등록 인구 기준으로 20·30대 남자 100명당 여성이 67명이다. 장기적으로는 가임여성 유출에 따른 출생아 추가 감소로 지방의 여성 일자리가 더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이런 상황은 서울 등 대도시도 달갑지 않다. 줄어드는 속도가 더딜 뿐, 일자리가 줄어드는 추세는 지방 소도시와 같다. 사람이 몰리면 경쟁만 심해진다. 이는 비혼·만혼과 저출산의 원인으로도 작용하고 있다. 지난해 주민등록 인구 기준 서울의 20·30대 여성은 같은 연령대 남성보다 많았는데, 이들의 40대 생애비혼율은 19.2%로 다른 지역의 2~3배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