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희 위원장, 연임 여부 주목
3기 위원회, 지배구조 개선 등 과제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는 이날 오후 2시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사옥에서 정기회의를 마지막으로 임기를 종료한다. 삼성 준법김시위원장과 위원은 임기가 2년이며 연임할 수 있다. 1기 위원장이었던 김지형 전 대법관은 연임 의사가 없음을 밝혔지만, 이찬희 위원장은 가능성을 열어 놓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삼성 준감위 7곳 관계사(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SDS, 삼성생명, 삼성화재)는 이달 26일부터 31일까지 순차적으로 임시 이사회를 진행해 3기 위원장 인선에 나설 예정이다.
삼성 준감위와 관계사 이사회는 협약 관계다. 관계사 이사회 등에서 후보를 추천하고, 찬반 투표를 거쳐 결정하는 구조다.
삼성 준감위는 2020년 국정농단 재판부가 이재용 회장에게 기업 내부에 준법 감시제도 마련을 권유한 이후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SDS, 삼성생명, 삼성화재 등 7개 관계사가 '삼성 준감위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협약'을 체결하면서 출범한 독립 기구다.
1기 위원회는 출범 후 2년의 활동 기간 동안 이 회장의 대국민 사과를 통한 무노조 경영폐기, 4세 경영 승계 포기, 시민사회와 소통 확대 등의 성과를 이끌어냈다.
2기 위원회는 준법경영을 기업문화로 정착시키는 역할을 했다. 이찬희 위원장은 지난달 정례회의에서 기자들에게 "자연스럽게 삼성의 준법경영문화가 체질화됐다는 게 이번 2기의 가장 큰 성과라고 생각한다"며 "1기 성과를 바탕으로 2기가 발전하고, 2기 성과를 바탕으로 3기가 발전하고 이런 식으로 계속 조금씩 정진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같은 성과를 인정받아 이 위원장의 연임 가능성이 점쳐진다. 다만 위원회의 구성원은 변동이 예상된다. 1기를 마치고 2기로 넘어올 당시 기존 위원 중 약 절반이 연임했다. 위원회 간의 연속성 등을 고려해 완전히 새롭게 꾸리기보다는 기존 인원을 포함시켰다.
이번에도 절반 가량은 새로운 인물들로 채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1기 위원회는 초반 법조인과 시민사회 위주로 구성됐다. 2기는 법조인과 학자를 중심으로 만들어졌다. 여성이 절반 가까이 차지하는 등 다양성 유지를 위해서도 노력했다.
새롭게 출범할 3기 위원회 앞에는 지배 구조 개선 등 많은 과제가 산적해 있다.
2022년 2월 바통을 이어받은 2기 위원회는 지배 구조 개선을 최우선으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삼성은 이재용 회장→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전자로 이어지는 순환출자구조를 취하고 있는데, 공정거래위원회 등으로부터 꾸준히 지배 구조 개편 요구를 받아온 데 따른 것이다.
2기 위원회는 외부 용역 등을 통해 다양한 모델을 연구·검토하면서 개선 방안을 찾았지만 활동 기간 내 명쾌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지배 구조 개선 과제는 3기 위원회가 이어받아 논의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이 밖에 새로운 컨트롤타워 구성 해법도 필요한 시점이다. 이 위원장은 작년 8월 "이재용 회장과 면담을 가진 이후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