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ㆍDL이앤씨 등 도시정비 제외 우발채무 수준 ‘양호’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보증 채무 관련 위기감이 건설업계 전체로 번지고 있지만, 대형건설사의 상대적 고위험 PF 우발 채무만 뜯어보면 안전한 것으로 파악돼 시장의 우려가 과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26일 한국기업평가(한기평)에 따르면, 주요 21개 건설사의 지난해 8월 말 기준 도시정비사업(약 9조7000억 원)을 제외한 PF 우발 채무 규모는 약 22조8000억 원이라고 밝혔다. 이는 일 년 전인 2022년 6월 말 대비 29%가량 증가한 수준이다.
한기평은 업황 저하로 기존 PF 차환 시 건설사들에 추가적인 신용보강이 요구되며 우발채무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금융위기 직후 건설사들의 현금성자산 대비 PF 우발채무가 약 25배에 달했던 반면, 최근에는 1배 내외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어 유동성 대응이 충분할 것으로 평가했다.
이렇듯 건설사 우발채무를 파악할 때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낮은 도시정비사업에 대한 PF 신용보강액은 제외해 살펴봐야 한다는 의견이 중론이다.
도시정비사업의 경우 사업주체인 조합이 토지를 보유하고 있고, 미분양이 발생해 도사업비확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시공을 담당하는 건설사가 떠안는 리스크가 매우 낮다고 보는 것이다. 이같은 구조를 고려할 때 건설사 PF 우발채무는도시정비사업을 제외한 나머지 도급 사업으로 한정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3분기 분기보고서를 공개한 주요 건설사 15곳의 도시정비사업 제외 우발 채무 현황 분석에 따르면, 건설사 대부분은 자기자본 대비 도급사업 PF 규모가 100%를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포스코이앤씨와 DL이앤씨는 자기자본 대비 도급사업 PF 규모가 각각 1.1%와 7.9% 수준으로 안정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도시정비사업을 포함하더라도 자기자본 대비 전체 PF 규모가 각각 14.3%, 39.2% 수준이었다.
이어서 호반건설(9.6%)과 서희건설(9.7%), SK에코플랜트(15.4%), 아이에스동서(17.9%), 현대건설(26.8%), DL건설(26.9%) 등도 자기자본 대비 도급사업PF 규모가 30%를 넘지 않았다.
김승준 하나증권 연구원은 “DL이앤씨는 도급사업 PF에 문제가 발생해도 내부 유동성으로 충분히 흡수가 가능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태영건설 PF 사태를 신호탄으로 건설사들에 대한 ‘옥석 가리기’가 본격화하는 상황”이라며 “다만 부실 우려가 비교적 낮은 도시정비사업을 제외하면 건설사들의 우발 채무가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난 만큼 과도한 불안 증폭은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