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체율 급상승에 뭉친 저축은행업계…"건전성 관리 속도낸다"

입력 2024-01-31 13:16수정 2024-01-31 16:5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주계열 저축은행 8개사-중앙회 공동협약
1분기 내 지난해 말 기준 추정손실 채권 상ㆍ매각
조직 개편으로 부실채권 관리 전문성 제고
'연체율 관리목표 산정체계' 가이드라인 마련
"시행 후 효과 따져서 저축은행 전체로 확대할 것"

▲31일 저축은행중앙회는 지주계열 저축은행 8개사(BNK·IBK·KB·NH·신한·우리금융·하나·한국투자저축은행)와 건전성 관리 강화를 위한 공동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사진 뒷줄 왼쪽부터 김영문 BNK저축은행 대표, 김재홍 IBK저축은행 대표, 전찬우 한국투자저축은행 대표, 강화구 KB저축은행 부사장(대참), 사진 앞줄 왼쪽부터 오세윤 NH저축은행 대표, 정민식 하나저축은행 대표,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 회장, 이희수 신한저축은행 대표, 전상욱 우리금융저축은행 대표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저축은행중앙)

저축은행들이 건전성 관리 강화에 나섰다. 저축은행 연체율이 급격히 높아지면서 건전성 위기설이 불거지자 이를 잠재우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31일 저축은행중앙회는 지주계열 저축은행 8개사(BNK·IBK·KB·NH·신한·우리금융·하나·한국투자저축은행)와 건전성 관리 강화를 위한 공동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큰 폭으로 뛴 것과 관련, 앞서 지난해 12월부터 지주계열 저축은행과 중앙회가 협의체를 구성해 건전성 관리 강화를 위한 업계 자구노력 방안을 논의한 결과다. 금감원에 따르면 저축은행 업계 연체율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6.15%로, 지난해 동기 대비 3.41%와 비교해 2배 가까이 올랐다.

지주계열 저축은행들은 건전성 관리를 위해 자체 채무조정을 활성화하기로 했다. 채무조정을 신청만 해도 기존 발생 정상이자와 연체이자를 전액 감면키로 했다. 자체 채무조정을 통해 원금을 전액 상환하는 경우에 연체이자를 감면한 기존 방식에서 인센티브를 대폭 확대한 수준이다.

새출발기금 등 채무조정 제도 홍보도 강화하기로 했다. 기존에는 주로 채권회수 절차 과정의 일환으로 관련 제도를 안내했지만, 홈페이지 모바일 앱 등의 배너, 팝업 홍보, LMS 발송, 유선 등 활용해 적극적인 채무조정제도 안내하기로 했다. 채무조정 제도에 대한 인지도를 높여 취약차주의 채무조정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취지다.

부실채권을 미리 털어내 경영 안정성도 강화한다. 지난해 말 기준 추정손실 채권을 올해 1분기 내 상ㆍ매각해 부실채권 리스크 조기 해소에 나설 방침이다. 중앙회와 지주계열 저축은행 측은 "가능한 조속한 시기에 보유 중인 부실채권 수준을 최대한 안정화할 것"이라며 "거래자와 금융시장의 우려를 불식하고 저축은행 신뢰도 제고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저축은행 자체 조직 개편을 통해 리스크 대응 전문성도 높인다. 기존에는 개인이나 기업 등 부문에 관계없이 여신관리부서가 통합 운영됐지만, 앞으로는 개인ㆍ기업 등 부문별 부실채권 전담ㆍ정리 체제를 마련해 부실채권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연체율 관리목표 산정체계 가이드라인도 마련하기로 했다. 지주계열 저축은행 8개사는 회계법인 컨설팅 등을 통해 업계 경영 환경에 적합한 연체율 관리 목표를 합리적으로 설정하도록 도와주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예정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금융시장의 안정과 저축은행산업의 건전한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업계 선도적으로 건전성 관리 강화 방안을 공동으로 마련해 추진하고자 협약을 체결했다"며 "서민과 중소상공인이 제도권 금융 이용에 소외되지 않고 저축은행과 건전한 거래 관계가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서민금융 공급 역할에 앞장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앙회는 이번 지주계열 저축은행 공동협약 효과를 따져본 뒤에 다른 저축은행으로의 확대도 검토할 방침이다. 중앙회 관계자는 "우선 충격 흡수 능력이나 체계가 잘 갖춰져 있는 지주 계열 저축은행부터 시행하고 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면 전체 저축은행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